“우리동네 도서관 정책은 몇점?”…경기도, 코로나 시국 맞춤형 '도서관 정책평가' 추진

경기도가 도내 31개 시ㆍ군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시국의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도서관 정책평가’를 추진한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달 중으로 각 시ㆍ군의 공공도서관 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관련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도의 도서관 정책평가는 ‘경기도 도서관 및 독서문화 진흥 조례’에 따라 매년 시행되는 것으로, 인구를 기준으로 도내 31개 시ㆍ군을 3개 그룹으로 나눠 평가한다.

Ⅰ그룹에는 인구 상위 10개 시(수원ㆍ고양ㆍ용인 등), Ⅱ그룹에는 차상위 10개 시(시흥ㆍ파주ㆍ의정부 등), 마지막 Ⅲ그룹에는 나머지 11개 시ㆍ군(이천ㆍ구리ㆍ안성 등)이 포함된다.

이번 평가의 실적기간은 지난해 7월1일부터 올해 6월30일까지인데, 이 기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도서관 운영이 큰 제약을 받은 바 있다.

이에 도는 올해 평가에 이 같은 점을 반영해 실적 위주의 정량평가(예산 증가율ㆍ대출권수ㆍ다문화도서 구입비 등) 비중을 낮추고, 정성평가(독서문화 진흥 위한 노력ㆍ지역자원 활용도) 위주로 시ㆍ군의 정책을 평가할 계획이다.

또 기존 평가에서는 도내 288곳의 공공도서관만 평가대상에 포함됐지만, 올해의 경우 도내 1천760곳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평가도 진행한다.

작은도서관은 시ㆍ군이나 법인 등이 지역 주민에게 지식 및 정보, 문화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자 아파트나 주민센터 등의 장소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도서관을 말한다.

도는 용역을 통해 우선 오는 9월까지 도서관 현장을 찾아 정성평가를 마무리하고, 이어서 11월까지 서면으로 정량평가를 진행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도는 오는 12월 우수 시ㆍ군 9곳과 특별상 1곳 등을 선정해 경기도지사 표창을 수여할 예정이다.

대학생 한모씨(22)는 "방역 강화로 도서관 이용이 제한적이서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고 싶어도 제대로 도서관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공공도서관의 기본적인 방역 시스템을 높여 자유롭게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정책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조창범 도 도서관정책과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도내 도서관 운영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이를 고려한 맞춤형 평가를 구상했다”며 “아울러 주민을 위한 작은도서관의 공공성 확대를 위해 도 차원의 평가를 추진, 지역의 독서문화 활성화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