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외국인 거주' 전국 최다…안정적인 정착 돕는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는 지역인 경기도가 ‘외국인주민 정책 기본계획’을 수립, 다양성을 인정받는 경기도 구현에 나선다.

도는 이번 계획을 통해 외국인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기존 주민들과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도내 거주 외국인 수는 59만3천300여명으로, 국내 전체 외국인(168만400여명)의 35.5%에 달한다. 이는 전국 시ㆍ도 가운데 최다 인원이다. 전체 인구 대비 외국인 비율이 10% 이상인 시ㆍ군도 2곳(안산 13.2%ㆍ시흥 11.4%)이 있으며, 관련 비율이 5% 이상인 지역도 8곳(수원ㆍ화성ㆍ오산ㆍ평택ㆍ안성ㆍ김포ㆍ부천ㆍ포천)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을 남부와 북부로 분류할 경우 21개 시ㆍ군이 위치한 남부지역에 도내 외국인 중 86.4% 규모인 51만2천여명이 밀집돼 있다. 10개 시ㆍ군이 포함된 북부지역에는 8만여명(13.6%)의 외국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한국계 중국인이 29만6천600여명으로 도내 전체의 49.9%에 달했다. 이어 중국인 5만1천800여명(8.7%), 베트남인 3만8천300여명(6.5%), 우즈베키스탄인 2만2천여명(3.7%) 등 순이었다.

이처럼 전국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는 특성을 고려, 도는 민선 7기 핵심가치인 ‘공정ㆍ평화ㆍ복지’를 바탕으로 ‘다양성으로 미래를 여는 경기도’ 실현을 위한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는 ‘외국인주민 정책 기본계획(2021~2025)’을 수립하고 관련 사업 진행에 나섰다. 도는 올해부터 기존에 진행하던 외국인 정책뿐 아니라 16개의 신규사업을 추가로 계획해 추진한다.

우선 도는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아 일시적으로 노동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놓인 외국인노동자를 돕기 위해 병가소득손실보상금을 지원한다. 또 실직과 재해 등으로 인해 거주할 장소가 없는 외국인을 위한 외국인노동자 쉼터 환경도 개선한다.

아울러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한 외국인 리더를 발굴하고, 성공 사례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정착에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에게 자부심 고취 등을 유도한다. 외국인 자원봉사단 운영 지원에도 나서 지역사회 소속감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정책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 ‘경기도 외국인 인권 조례’에 따라 2년마다 수립하는 도 외국인 인권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실태조사, 농촌지역의 외국인노동자 인권침해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등도 수행한다.

도 관계자는 “도는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별도의 다문화ㆍ외국인 관련 전담부서를 설치 및 운영해왔다”며 “전국에서 외국인이 가장 많은 지역인 만큼, 도민과 외국인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