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DMZ 기억의 전당, 文정부 ‘촉박하다’...빨리 파주 지역으로 확정하고 시작해라

파주시민에 반가운 소식이다. 국립 DMZ 기억의 전당 용역 결과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하는 1천억원 상당 사업이다. 접경지역의 전쟁과 분단의 역사를 추모하는 공간 건립이다. DMZ의 과거 및 미래 가치를 다양한 콘텐츠로 표현하는 기획이다. 2019년 구상이 공개됐고, 그동안 장소를 공모했다. 강원도, 인천의 몇 개 지역도 관심을 둬왔다. 바로 이 사업의 적지(適地)로 파주 임진각 일대가 조사됐다. 입지 선정에 미칠 영향이 절대적이다.

용역 수행 기관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다. 문체부가 발주한 ‘DMZ 기억의 박물관 용역’이다. 용역에서 파주 임진각 일대의 경제성분석은 1.12였다. 1 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중요한 것은 타 후보 지역과의 차이인데,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번 용역에서 명칭도 바뀌었다. 기존의 ‘DMZ 기억의 박물관’ 대신 ‘DMZ 기억의 전당’이 추천됐다. DMZ를 영원한 기억의 공간으로 보존한다는 취지를 따랐다.

사실상 파주로 결정된 것으로 봐도 된다. 문체부가 권한을 부여한 용역에서 내린 결론이다. 이를 뒤집을 논리도 없고 뒤집어서도 안 된다. 이제 우리도 ‘DMZ 기억의 전당’은 파주에 건립된다고 단정할까 한다. 다소 앞서 가는 점이 없지 않음은 잘 안다. 그럼에도, 절차를 서두르는 데는 이유가 있다. 남북 평화 정착은 문재인 정부의 1호 과제다. 그 가장 극적인 장면이 남ㆍ북ㆍ미 정상 만남이었다. 그 장소도 파주, 판문점이었다.

문재인 정부가 남길 가장 큰 유산도 남북 긴장 완화다. 그 유산을 가시적으로 남기려는 것이 ‘DMZ 기억의 전당’이다. 그래서 문체부가 1천억원 들여 추진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1년 남았다. 향후 정치 일정도 모든 게 유동적이다. 관련 계획 자체가 백지화될 수도 있다. 정부로서는 서둘러 첫 삽을 떠야 할 이유다.

경기도의 사정도 있다. 지난해 4월 경기연구원이 이른바 ‘DMZ 로드맵’을 발표했다. 평화ㆍ생태를 활용한 5대 전략 16개 과제다. 22조원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청사진을 소개했다. 그 속에 ‘DMZ 기억의 박물관’(당시 명칭) 유치가 있었다. 도가 부지 무상 제공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경기관광공사 소유의 임진각 평화누리 유휴공간 2만평이다. ‘DMZ 로드맵’은 별다른 진척이 없다. 도도 ‘DMZ 기억의 전당’을 학수고대하는 이유다.

애초부터 최적지는 파주였다. 이유가 차고 넘쳤다. 이제 그 당위성이 연구로 증명됐다. 이젠 발표해야 한다. ‘DMZ 기억의 전당은 파주에 짓는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조사, 설계, 선정, 착공을 가야 한다. 아무리 서둘러도 촉박하다. 문체부는 서둘러라. 그리고 도와 파주시는 서두르라고 촉구하라.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