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특급’은 경기도의 디지털 뉴딜 사업이다. 배달앱 시장의 독과점 문제 해소와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을 목표로 경기도주식회사가 개발, 운영 중인 공공배달 앱이다. 지난해 12월1일 출시 이후 현재까지 34만명이 회원 가입을 했으며 총 거래액은 260억원이다.
소상공인 보호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배달특급은 무상 광고를 비롯해 6∼15%의 중개수수료를 적용하는 민간 배달앱과 달리 1%의 중개수수료만 내면 돼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 또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배달앱으로 지역화폐 결제 시 할인 쿠폰 지급 등 소비자 혜택도 있다.
경기도는 21일 군포ㆍ여주ㆍ동두천ㆍ가평ㆍ광주ㆍ남양주ㆍ의정부ㆍ하남ㆍ시흥ㆍ광주ㆍ부천 등 11개 시군과 배달특급을 확대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화성ㆍ파주ㆍ오산ㆍ수원ㆍ용인ㆍ김포ㆍ이천ㆍ포천ㆍ양평ㆍ연천ㆍ안양ㆍ평택ㆍ양주ㆍ구리ㆍ안성ㆍ의왕 등 16개 시군은 이미 서비스 중으로 31개 시군 중 27개 지자체에서 참여하게 됐다. 도는 내년 상반기까지 나머지 기초단체까지 포함, 경기도 전역에서 공공배달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협약에 따라 도는 공공 디지털 SOC 구축, 소상공인 교육, 사업홍보 지원을 하고, 시군은 사업의 조기 확산과 안정적 운영 지원을 맡는다. 경기도주식회사는 배달특급의 합리적 운영과 서비스 증진, 소상공인 판로 지원을 한다. 도는 연말까지 1천억원의 거래실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과점 배달 플랫폼 기업의 횡포에 맞서 경기도를 포함해 광역자치단체들마다 공공배달앱을 출시했다. 소상공인과 소비자에게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야심차게 내놨지만 보완하고 개선할 점이 많다. 민간 배달앱에 미치지 못하는 시스템과 혜택으로 소비자를 유인하는 데 한계가 있다. 지역화폐 활성화를 위한 운영 방식이어서 현금이나 신용카드 결제 시 다른 배달앱과 차별성이 없다고 한다. 소상공인 입장에서도 프로그램 운영상 불편함이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일부에선 민간보다 배달료가 더 비싸다는 지적도 있다.
‘착한 배달앱’을 표방하는 배달특급이 자생력과 경쟁력을 갖춘 공공배달앱으로 자리매김 하려면 서비스 질과 공공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중개수수료를 1%로 낮춰 도의 예산 투입이 늘어나게 됐는데 계속 세금을 퍼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배달특급 사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선 배달앱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 소비자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 지역상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사랑받는 상생 플랫폼이 되기 위한 노력을 좀 더 기울여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