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교통안전 전문성 및 예산 확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지수는 올라갔지만, 도시개발과 인구 유입 등을 반영한 시 차원의 정책적인 뒷받침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다.
22일 국토교통부와 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국토부의 교통문화지수 평가에서 전국 17개 시·도 중 4위에 올랐다. 2019년 10위에서 대폭 올라간 순위다.
하지만 시는 평가 항목 중 교통안전 전문성 확보 분야에서 9위(C등급), 교통안전 예산확보 노력 분야에서 10위(C등급)에 머무른 상태다. 시에서는 그동안 추진해온 교통안전 정책이 보호구역 지정·관리, 불법주·정차 방지, 보행환경 저해 요소 제거 등의 시설 개편에만 몰려 있는 문제로 이들 분야에서 낮은 순위와 등급이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인천은 송도 및 청라 등 경제자유구역의 개발과 원도심 재생사업 등의 보행량 증가 요인이 많아 선제적으로 보행 관련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또 인천은 보행량 증가에 따른 보행교통시설 확보 등과 개발사업에 따른 인구 유입을 감안한 정책 마련 역시 시급한 지역이다.
이에 따라 시는 현재 수립 중인 ‘인천시 보행 안전 및 편의 증진 기본계획’에 관련 개발계획이나 개발 주체 간의 연계성을 강화한 종합적인 교통안전 대책 등을 반영하기로 했다. 기본계획의 확정 고시는 추가의견 검토 등을 거쳐 다음달께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시는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주차장 확보사업, 전신주 지중화 사업, 자전거도로 개설사업,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사업 등 다른 사업과 연계해 사업비를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보행문화 선진화 방안 등의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 범위별로 적용 가능한 표준 모델을 찾는다. 이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도다.
시 관계자는 “관련 중복사업을 제외하고 개선 가능성이 큰 지역에 시범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해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며 “관련 예산 확보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