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교통수단으로써의 철도 의의를 되새기고자 ‘철도의 날(6월28일)’을 지정, 운영 중인 가운데 경기지역 곳곳에서 철도 노선 및 정거장 등을 중심으로 한 갈등이 매년 도돌이표처럼 반복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에 대해 철도를 부동산ㆍ정치적 시각으로 바라보기 때문이라며, 철도가 반드시 서울로 연결돼야 한다는 ‘서울바라기’ 인식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대표적 철도 갈등 사례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다. 서울 강남과 수도권 외곽을 30분 내로 이동하는 철도 구축이 목표인 GTX사업 중 C노선과 D노선이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먼저 C노선의 경우 기존 계획의 10개 역사 외 추가 조성될 역사 자리를 놓고 인접 지역인 안양시와 의왕시가 갈등을 벌였다. 이후 안양의 인덕원역이 추가 역사로 가닥이 잡히자, 이번에는 과천시가 반대하고 나섰다.
C노선 기존 역사인 과천역과 인덕원역 간 거리가 불과 4.2㎞밖에 되지 않아 열차 속도가 감소할 것이란 주장이 나왔기 때문이다. 과천은 역사 추가 시 급행열차인 GTX가 완행열차로 변모할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D노선은 당초 계획안(김포~강남)과 달리 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으로 축소 검토되자, 김포ㆍ인천의 주민 및 정치인 등은 삭발 집회까지 열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또 지난 2월 서울시가 “도시ㆍ광역철도의 서울시 외 연장원칙은 평면 환승”이라는 추진원칙을 밝혀 논쟁의 시발점이 만들었다. 이에 당시 서울 철도와 직결을 추진하던 별내선(8호선)과 하남선(5호선), 진접선(4호선) 등 사업을 두고 경기도와 서울 간 갈등이 빚어졌다. 결국 이미 연장 확정된 구간까지만 직결 허용하고, 이후 추가 직결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이처럼 철도 관련 갈등이 끊이지 않는 것은 철도를 교통편의 증진 개념이 아닌 부동산ㆍ정치적 시각으로 바라보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교통 분야 전문가들은 ‘서울바라기’ 인식 개선과 함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확한 설명과 소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성호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전문위원은 “도내 철도를 보면 모두 빨대식으로 서울로 흡수되는 구조인데, 이보다 경기지역을 동~서로 이동하거나 순환하는 개념의 철도가 구상돼야 할 것”이라며 “주민 입장에선 경제성 등을 따지는 것보다 당연히 거주지 인근에 노선이 유치되는 것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정부 등이 철저한 분석으로 도출된 결과를 적극 설명하고 소통해 갈등을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서울로 연결되지 않는 도내 순환철도망 구축으로도 남ㆍ북부 균형발전 등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