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자살 신고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올해 자살신고는 지난해 코로나19가 확산한 시점보다도 3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 분석을 통한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29일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5월말 현재 극단적 선택 신고 건수는 2천901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2천227건보다 30% 급증했다.
2020년 한해 동안 인천시자살예방센터의 극단적 선택 상담건수도 2만6천248건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8년 2만4천411건보다 2천여건 늘어났다.
2020년 성별 상담은 여성이 55.2%(1만4천491명)로 남성 44.8%(1만1천757명)보다는 많았고,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가장 많은 상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동을 느끼는 이유로는 신체·정신적 문제가 가장 많았으며, 외로움과 고독이 뒤를 이었다.
특히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20대 여성의 자살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 3월 여성의 날을 맞아 ‘정치하는 엄마들’ 등 시민단체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20대 여성은 전년 대비 33.5% 늘어난 4천607명으로 나타났고, 지난해 전체 자살시도자 중 20.4%는 20대 여성으로 나타났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코로나19로 고용 상황이 안 좋은 상태에서 도피처 없이 사회에 진출해야 하는 20대 여성이 사회적으로 고립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불리한 사회적 환경이나 노동조건 등을 개선해 나가는 일이 필요하다”고 했다.
코로나19 속에 다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 맞춘 대응을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을 살린 세밀한 대책이 필요하다.
앞서 경기도 가평군은 전담인력을 늘리고 ‘생명지킴이’를 발족하는 등 지역적 특성에 맞춘 관련 정책을 추진해 10년만에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사망자수)을 절반 수준으로 떨어뜨리기도 했다.
이연정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일자리 정책 등을 추진해 장기적 소득을 늘고, 시민들이 절망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노인 인구가 많은 동구의 경우 ‘생명 두레 프로젝트’를 통해 노인 자살예방에 중점을 두고, 중장년층과 다빈도지역인 부평구는 ‘주거취약지역 자살예방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군·구의 특성에 맞는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사업을 통해 인천지역 자살률을 낮추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보람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