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토지 현실과 지적공부가 불일치하는 것을 다시 일치시키는 지적재조사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경기도는 지적재조사 종합계획을 추진(경기일보 6월16일자 1면)한 이후 ‘경기도 제3차 지적재조사 종합계획(2021년~2030년)’을 최종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종합계획에는 ‘공감·협력을 통한 바른 땅 사업의 가속화’를 목표로 ▲디지털지적 구축의 가속화 ▲미래변화에 선제적 대응 ▲도민과 공감하는 사업기반 조성 등 3대 수행전략과 전략별 4개 세부 수행과제가 담겼다.
구체적 과제를 보면 먼저 불부합 정도가 심하거나 사업의 효과가 높은 지구를 우선 사업지구로 선정한다. 필요성에 따라 시·군별로 1~4등급을 부여하고 즉시 사업추진 필요성이 적은 필지 등은 사업 대상 외 5순위로 관리해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도는 직관적이고 종합적 판단이 가능한 정밀 무인 항공 영상을 공개해 도민의 사업 이해도를 높이는 내용도 이번 종합계획에 담았다.
지적재조사와 관련한 온라인 홍보도 강화한다. 일반 도민을 대상으로 사업 이해도를 높이고 필요성과 절차에 대한 홍보 콘텐츠를 활용, 토지소유자 중심으로 홍보를 병행한다는 것이다. 또 온라인 주민설명회 등 각종 자료에 대한 상시 게시도 펼친다.
권경현 도 토지정보과장은 “경기도는 디지털 뉴딜 실현을 위해 2030년까지 디지털 지적 구축을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2030년 사업 완료를 목표로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