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상수원 40년 갈등 상생협약한 3개 市...갈 길 멀다, 유리 다루듯 조심히 가라

의미 있는 협약이 체결됐다. 40년 갈등을 풀어 보자는 약속이다. 용인ㆍ평택ㆍ안성시가 해당 지자체다. 환경부와 한국농어촌공사도 직접 당사자다. 경기도는 전체 조율을 맡았다. 평택호 유역 상생협력업무협약이다. 평택호 상수원 규제 완화를 앞두고 맺은 약정이다. 평택호는 1973년 조성됐다. 1979년 평택시 송탄취수장과 유천취수장 일대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그때부터 용인시 약 62㎢, 안성시 89㎢가 묶였다.

용인시와 안성시 바람은 상수원 규제 해소다. 받고 있는 재산권 피해가 크다. 평택시는 해제에 반대한다. 평택호 수질이 더 나빠진다는 등의 이유였다. 이날 협약은 규제 해소를 위한 사전 준비에 협조한다는 동의다. 하수처리장 신·증설, 비점오염저감시설 확충, 축산분뇨 공공 처리 등이 이뤄진다. 평택호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꼭 해둬야 할 일이다. 이걸 3개 시와 환경부, 농어촌공사가 함께 해나간다는 서약을 남긴 것이다.

여기까지 온 것도 참 힘들었다. 민선 6기 내내 충돌과 대화, 파국이 이어졌다. 용인시민들이 평택시 청사를 점거했다. 경기도 중재로 금방 공동 용역에 갈 것처럼도 보였다. 하지만, 과정은 끝없는 대화와 결렬의 반복이었다. 2018년 3월 말 문패 하나를 달았다. 경기도 중재로 3개 시 상생협력단이 설치됐다. 현판식에서 이재율 당시 1부지사가 말했던 희망이 남아있다. “용인·평택·안성시 간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테이블이 마련됐다.”

그런 역사를 거치며 여기까지 왔다. ‘규제 해소’라는 희망을 독자에 전하고 싶은데, 아직 시기상조다. 용인ㆍ안성시와 평택시의 이견이 상상 이상이다. 각종 설문조사가 그 정도를 보여준다. 평택시민의 80% 이상이 ‘규제 계속’을 원한다. 용인ㆍ안성시민의 90% 이상이 ‘규제 완화’를 원한다. 선출직 공직자 또는 의원들의 운신 폭이 그만큼 좁다. 이러니 한 단계 한 단계가 아슬아슬하다. 언제든 판이 뒤집힐 수도 있다.

조심히 가길 권한다. 유리 다루듯 가길 바란다. 상대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 내 지역 손해도 인정해야 한다. 도지사 아무개, 시장 아무개의 치적에 매달리면 안 된다. 그런 셈하던 과거 집권자는 다 실패하고 떠났다. 실상을 앞서가는 일방의 홍보도 자제해야 한다. 과정의 과장이 전체 파국을 불렀던 일들이 비일비재하다. 각 지역 시장들이 직(職)을 걸고 다루는 문제다. 갈등 세월 40년을 교훈 삼아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