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줄어드는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지역 내 어장환경을 대폭 개선한다.
4일 시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어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5개의 추진 방향과 11개 세부 중점 추진과제 등을 담은 ‘2021년 수산자원관리 시행계획’을 마련했다.
그동안 시는 인공어초, 바다목장 등 수산자원을 보호하고 물고기 종자방류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수산자원조성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관리수면 지정과 관리체계가 미흡해 효과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수산자원관리 우수 공동체에 대한 지원이나 참여공동체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가 부족해 실질적인 수산자원관리 효과가 작았다. 이는 인천의 어업 생산량 결과에서도 나타난다. 인천은 2008년 2만7천t 수준의 어업 생산량을 늘리지 못한 채 현재까지 같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201억원을 투입해 풍요로운 어장 조성, 수산자원 보호 및 관리, 연근해 어장 환경개선, 자율관리어업 내실화, 연안생태계 보호 및 관리 등을 추진한다.
시는 우선 지역특성에 맞는 우량 수산자원 방류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꽃게·점농어·넙치 등 9종 880만미의 수산종자와 바지락·동죽 등 4종 72t의 패류종자를 방류한다. 또 참조기·참담치·전복 등 지역 특산품종의 종 보존 연구와 양식기술 개발을 연구해 대량 생산기술을 확보한다.
수산생물의 인공산란이 이뤄질 수산자원 서식 기반도 확충한다. 시는 덕적·문갑·대청 소청리·자월 등 연안 4개 해역에 8단지 58㏊ 규모의 인공어초 시설과 자월·덕적 해역에 바다목장(400㏊)과 바다숲(153㏊)을 조성한다.
특히 시는 사업 효과가 미흡했던 자율관리어업의 내실화를 강화한다. 시는 어업인 스스로 결성한 자율관리어업 공동체가 자립할 수 있도록 1년간 8번에 걸쳐 선진사례 교육, 자체규약 정비 등 자율관리어업 확산교육을 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시는 총허용어획량(TAC) 확대·관리를 통한 자원보호 및 관리, 불법어업 단속, 어장 내 유해생물 구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어장환경 조성. 해양수산 전문인력 양성 등 어장 환경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또 연안어장의 수산생물 폐사 발생 등 실태조사, 해양쓰레기 수거 등 연안생태계 보호 사업도 병행한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등으로 불안정한 어업 환경에 대비하겠다”고 했다. 이어 “올해 추진실적을 모니터링해 내년 계획에 반영하는 등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