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59세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 예약이 첫날인 12일 오후 중단됐다. 4차 대유행에 불안해진 대상자들이 몰리며 정부가 확보한 물량이 순식간에 동이 난 것이다. 정부는 접종 계획을 발표하며 백신 물량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물량에 따른 선착순 예약이나 조기 마감 가능성도 알리지 않았다. 17일까지 예약하면 접종이 가능한 줄 알았던 대상자들은 갑작스런 예약 중단에 ‘국민을 속였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사실상 ‘선착순 마감’이었던 것이다.
모더나 백신을 맞게 되는 55∼59세는 352만4천명이다. 그러나 12일 예약한 사람은 185만명(52.5%) 뿐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예약하지 못한 55∼59세 약 167만명은 19일부터 추가 예약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음 달 2∼7일 접종을 추진 중이지만 확정된 건 아니다. 추진단은 백신 물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다음 달 9일 시작되는 50∼54세 접종 때 같이 진행할 수 있다고 했다.
혼란이 예상된다. 백신 수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접종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고, 예약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것이다. 정부는 향후 접종계획에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백신 수급 일정에 따라 8월 중순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40대 이하 접종까지 연이어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백신은 국내로 들어오는 물량이 중요하다. 이번 사태처럼 백신이 반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예약부터 받은 것은 국민을 우롱한 것이나 다름없다.
정부는 수급 물량이 한정적이라 모두가 예약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사전에 예고하든가 연령을 더 세분화해 대상을 줄였어야 했다. 접종 대상자가 300만명을 넘는데 185만명분만 확보해놓고 신청을 받은 것은 문제가 많다. 일부에선 ‘종일 아무것도 못하고 인터넷과 전화기에 매달렸다’며 ‘엉터리 계획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한다. 정부는 국민들의 분노와 질타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번 사태는 충분히 예측할 수 있었을텐데 주먹구구식 운영으로 방역당국에 대한 신뢰감이 크게 떨어졌다. 4차 대유행이 본격화하면서 불안감이 커져 백신 접종 희망자가 몰릴 수밖에 없는데 간과했다. 준비가 덜 됐거나 물량이 부족하다면 솔직히 설명해야 한다. 방역당국은 서둘러 예약 중단 상황을 해소하고 근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4차 유행 양상이 심각하고, 전파력 강한 인도발 ‘델타 변이’ 검출 사례도 늘었다. 지금 상황에서 코로나19를 퇴치할 수 있는 해결책은 백신 접종이다. 정부는 백신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