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물류단지로 인한 교통체증 해결 위한 밑그림 그린다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전자상거래가 늘어나자 도내 물류단지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물류단지 주변의 교통체증 해결을 위한 밑그림 그리기에 나선다.

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에는 총 10개소의 물류단지가 준공돼 운영 중이며, 추가로 5개소가 개발되고 있다.

운영 중인 도내 물류단지 10곳은 8개 시(평택ㆍ여주ㆍ광주ㆍ김포ㆍ이천ㆍ안성ㆍ화성ㆍ부천)에 자리하고 있다. 이들 시설의 총 면적 규모는 472만2천㎡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월부터 국내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코로나19가 1년6개월가량 확산세를 이어가면서,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전자상거래가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지난 5월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국내 전자상거래 비중은 2019년 20.8%에서 지난해 25.9%로, 5.1%p 늘었다. 이는 조사대상 국가 7곳(한국ㆍ미국ㆍ중국ㆍ영국ㆍ호주ㆍ캐나다ㆍ싱가포르) 중 가장 높은 증가폭 수치다.

도는 이 같은 전자상거래 증가 현상과 관련, 도내 물류단지 수요도 꾸준히 증가해 물류단지 주변 교통체증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도는 이달 중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 수립에 필요한 실증 자료를 확보하고자 ‘경기도 물류단지 실증조사 연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용역기간은 오는 12월까지로 약 6개월간이다.

이번 용역을 통해 도는 운영 중인 물류단지 10개소의 진출입로 29곳에 영상기록장치를 설치, 시간대 및 차종별 유발교통량을 분석할 예정이다.

이런 과정으로 도출된 실증 자료는 과거 각 물류단지 계획 승인 당시 교통영향평가에서 추정된 유발교통량과 비교하는 데 활용, 이를 통해 도는 계획 당시의 교통량 예상치와 실제 교통량 간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한다. 도는 비교 결과를 향후 신규 물류단지 인ㆍ허가를 검토할 때 적용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물류단지 주변 지역에서 교통체증 관련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이번 실증조사 연구용역을 추진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광주시 곤지암읍 주민들과 갈등 빚으며 논란 일으켰던 ‘봉현물류단지’ 등 선례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