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깃대종, 생태계를 가다 ①] 김진수 백령면 어촌계 선장 “점박이물범, 어민과 공존하는 중”

인천 백령도 용기포항에서 40년 넘게 어업활동을 하는 김진수 선장(64)이 점박이물범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장용준기자
인천 백령도 용기포항에서 40년 넘게 어업활동을 하는 김진수 선장(64)이 점박이물범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장용준기자

“한때 천덕꾸러기 신세였지만, 이제는 사람과 공존하고 있습니다.”

백령도 용기포항에서 40년 넘게 어업활동을 하는 김진수 선장(64)은 ‘물범지킴이’로 불린다. 점박이물범에게 10년 넘게 먹이를 주고 물범 바위 주변을 청소하고 있다.

김 선장은 어려서부터 점박이물범과 함께 자랐다. 김 선장이 해삼과 전복을 따면 점박이물범들이 다가와 장난을 걸만큼 친하다.

그는 “물 속에 들어가 있으면 물범들이 툭 쳐서 돌아보면 눈을 동그랗게 뜨고 쳐다보고 있기도 하다”며 “이제는 친구를 만나는 것 같이 익숙하다”고 했다.

이 때문에 김 선장은 폐어망 등 해양쓰레기로 인해 점박이물범들이 점점 살기 힘들어지는 환경을 바꿔보려 나선 것이다. 백령도를 대표하는 점박이물범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 활동을 시작한지 벌써 10년째다.

일부 어민은 점박이물범이 통발 속 소라나 노래미 등을 빼먹거나, 통발을 망가뜨린다며 곱지만은 않은 시선을 보낸다. 김 선장은 “점박이물범 보호를 자연스레 받아들이는 어민들이 늘고 있다”며 “오히려 점박이물범이 폐그물 등에 걸려 죽지 않도록 조업하다가도 쓰레기를 치우는 어민도 있다”고 했다.

김 선장은 앞으로도 물범 보호에 앞장 설 생각이다. 또 인천시나 정부 차원의 점박이물범 보호대책 마련도 요구할 계획이다.

김 선장은 “점박이물범을 보호하지 않으면 다른 서식지로 떠날 지도 모른다”고 했다. 이어 “오래동안 점박이물범을 백령도에서 볼 수 있도록 모두가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