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우기 취약시설이 집중호우 시 사고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일선 시ㆍ군과 함께 지난 5월26일~6월29일까지 저류지 및 하천시설(수문) 등 도내 우기 취약시설 58개소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점검을 실시했다.
점검대상을 시설별로 보면 저류지 27개소, 급경사지 11개소, 배수펌프장 6개소, 지하도상가 5개소, 노후건축물 5개소, 수문 4개소 등이다. 도는 이들 58개소에서 총 228건의 안전관리 미흡 사례를 적발했다.
도내 A 저류지는 여수로(댐 또는 발전소 등이 발전에 필요한 물을 아래로 흘려보내고자 설치한 수로)에 수문을 설치, 상시 수위 이상으로 물을 담아놨다. 이럴 경우 저류지의 홍수조절 능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집중호우 시 범람의 위험이 있다. 도는 A 저류지에 대해 수위가 낮아질 수 있도록 물을 방류하라는 안전조치명령을 내렸다.
B 수문의 경우 수문 아래 대규모 토사가 퇴적돼 물의 흐름이 방해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는 수문으로 빠져나가야 하는 물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퇴적물 제거를 요청했다.
이밖에 일부 급경사지의 낙석방지 울타리가 수목 전도로 인해 훼손됐고, 일부 배수펌프장에서는 시설물 벽체와 옹벽 등에서 녹이 슬거나 균열이 발생한 흔적이 발견됐다.
반면 성남 지하상가는 침수 예방을 위해 상시 가동할 수 있는 비상펌프를 설치해 안전관리 우수 사례로 꼽혔다. 고양 구산배수펌프장도 나뭇가지나 기름덩어리 등 협착물 제거 시 사람이 직접 옮기지 않도록 컨베이어벨트를 운영하는 등 작업자 안전성을 확보했다.
도는 이번 점검 과정에서 곧바로 시정이 가능한 미흡 사례는 현장에서 조치를 끝내도록 했고, 문제 해결을 위해 사업비 편성 등이 필요한 일부 사례에 대해선 지난 19일 각 시ㆍ군에 공문을 보내 개선을 요청했다.
아울러 드론이나 GNSS(인공위성으로 위치ㆍ고도 등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등 활용한 우기 취약시설 관련 데이터 축적 및 분석, 각 시설물 관리주체 등과의 안전관리체계 마련 등 제도 개선도 검토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오는 10월까지는 장마나 국지성 호우 등이 언제든 찾아올 수 있어 꾸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며 “일선 시ㆍ군과 적극 협조해 신속하게 지적사항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