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다음 달 8·15 광복절 가석방 심사 대상자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민 3명 중 2명이 이 부회장의 가석방에 찬성 의사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YTN의 의뢰로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6.6%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석방해야 한다’라고 답했다. 반면 ‘특혜 소지가 있으니 가석방하면 안 된다’라는 응답은 28.2%로 조사됐고, ‘잘 모르겠다’는 5.2%였다.
그간 정ㆍ재계가 꾸준하게 이 부회장의 사면을 요구한 데 이어 국민 세 명 중 두 명이 가석방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회장의 조기 출소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형국이다.
정치계는 앞서 미국과 중국, 대만 등 세계 각국이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이 부회장의 부재로 적극적인 행보를 못 하고 있다며 지적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화성을)은 지난 24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 부회장 사면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이 의원은 “4차 산업혁명에서 반도체는 필수 불가결한 존재로 기술의 한 끗 차이가 전쟁에서 승자와 패자를 가를 것”이라며 “이 부회장의 가석방을 통해 삼성이 반도체 초격차 전쟁에서 앞장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기지역 경제계도 경기침체 및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려면 세계적 기업인 삼성전자 총수 이 부회장의 특별사면을 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경영자총협회는 장기간 경기침체, 코로나19, 최저임금 인상 등 한국경제가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재도약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 부회장의 사면이 필요하다면서 미국과 중국이 반도체 전쟁을 하는 와중에 삼성전자 오너가 경영에 복귀하면 지역을 넘어 한국경제가 큰 힘을 받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경기도의 한 상공회의소 관계자도 “반도체, 배터리 등 미래 산업에 있어 대한민국 경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삼성전자가 힘을 받기 위해서는 이 부회장의 경영 복귀가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6일 형기의 60%를 복역해 가석방 심사 기준을 충족했다. 가석방 심사위는 수형자의 수용 생활 태도와 범죄 유형에 따라 7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경비처우급과 재범예측지표로 도출된 등급별로 세분화해 다음 달 초 이 부회장에 대한 적격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