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통신연락선을 복원했다. 27일 오전 10시를 기해 통했다. 지난해 6월9일 이후 막혀왔었다. 먹통 13개월만에 재가동에 들어갔다. 이번 결과에는 남북 정상의 노력이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총비서간 친서 대화다. 지난 4월부터 두 정상이 노력했다고 청와대가 설명했다. 남북 대화 재개, 정상 회담 개최, 남북 경협 재개 등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다시 궤도에 오를 듯하다. 문 대통령의 존재감이 강력해졌다.
그동안도 남북 대화는 문 대통령 영역이다. 2018년 이후 모든 과정을 주도했다. 이번 연락선 복원도 문 대통령의 역량이 발휘됐다. 청와대가 ‘4월부터 남북 정상 친서’를 굳이 설명한 것도 이런 측면이다. 임기 상관없이 챙기고 있다는 청와대 선언인 셈이다. 향후 관련 진행 역시 문 대통령이 단독으로 밀어붙일 게 거의 틀림 없다. 내용에 있어서나 속도 면에서 전보다 과감히 전개될 것이다. 레임덕의 역설이 작동되는 셈이다.
국정 전반에 걸친 장악력 역시 커질 게 분명하다. 그동안 여권이 분석한 국정 장악력 마이너스 요소가 있다. 이른바 ‘조국 사태’와 함께 부동산 시장 불안, 그리고 ‘하노이 노딜’이다. 이 가운데 하나가 극적 반전을 이룬 것이다. 조국 사태와 부동산 불안은 돌이킬 수 없는 과오다. 결국, 되돌릴 수 있는 것은 남북 대화밖에 없는 현실이다. 다양한 대화는 물론, 남북정상회담까지 총력전으로 밀어붙일 가능성이 커지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대선판에 끼칠 영향이 적지 않다. 야권에는 반길 수 없는 상황임이 분명하다. 7개월 앞두고 터져 나온 대화채널 복원이다. 남북 정상 회담을 상상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대선 직전, 서울에 나타난 김정은 총비서를 상상하지 않을 수 없다. 모든 이슈를 삼키는 블랙홀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남북대화 분위기에 역행할 수도 없는 처지다. 자칫 반(反) 통일 세력으로 몰릴 경우 야권이 대선에서 받을 타격이 클 게 뻔하다.
여권의 대선 판도 역시 복잡해진다. 안 그래도 문 대통령의 임기 말 지지는 높다. 대부분 대통령이 10~20%였으나 문 대통령은 40%대를 기록하고 있다. 남북대화 재개로 이 지지율이 더 올라가게 됐다. 문 대통령이 방관자가 아닌 조정자가 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친문 또한 재결집할 명분이 커졌다. 여권 후보군들로써는 ‘문재인 정부 부정’은 상상하기 어렵다. ‘문심(文心)’이 흔드는 판이 될 수 있다. 7개월이란 게 그렇다.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 평화 정착. 국민 모두가 염원하는 꿈이다. 문재인 정부에 좋은 일인 것이 틀림없다. 대선판에 큰 변수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모두가 한 가지 가치는 잊어선 안 된다. 평화와 선거는 비교될 수 없는 영역이다. 이용해도 안 되고, 이용돼도 안 된다. 문재인 정부는 순수하게 추진해야 한다. 여권은 정치와 떼어내 다뤄야 한다. 야권은 계산하지 말고 협조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