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수중유물, 고려바다의 흔적' 특별 전시회가 개막한 인천 연수구 인천시립박물관에서 한 일가족이 옹진군 영흥도 앞바다에서 발굴한 청자들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10월 17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은 중국 원나라 무역선인 ‘신안선’을 발굴한 지난 1976년터 2019년까지 약 40년간 서·남해안 바다속 고려시대 선박 등에서 발굴한 유물 450여점으로 꾸며졌다. 장용준기자
27일 ‘수중유물, 고려바다의 흔적' 특별 전시회가 개막한 인천 연수구 인천시립박물관에서 시민들이 마도2호선에서 나온 보물 1783호인 ‘버드나무·갈대·대나무·꽃무늬' 매병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10월 17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은 중국 원나라 무역선인 ‘신안선’을 발굴한 지난 1976년터 2019년까지 약 40년간 서?남해안 바다속 고려시대 선박 등에서 발굴한 유물 450여점으로 꾸며졌다. 장용준기자
27일 ‘수중유물, 고려바다의 흔적' 특별 전시회가 개막한 인천 연수구 인천시립박물관에서 시민들이 고려시대 청자들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10월 17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은 중국 원나라 무역선인 ‘신안선’을 발굴한 지난 1976년터 2019년까지 약 40년간 서·남해안 바다속 고려시대 선박 등에서 발굴한 유물 450여점으로 꾸며졌다. 장용준기자
27일 ‘수중유물, 고려바다의 흔적' 특별 전시회가 개막한 인천 연수구 인천시립박물관에서 시민들이 마도2호선에서 나온 보물 1783호인 ‘버드나무·갈대·대나무·꽃무늬' 매병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10월 17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은 중국 원나라 무역선인 ‘신안선’을 발굴한 지난 1976년터 2019년까지 약 40년간 서·남해안 바다속 고려시대 선박 등에서 발굴한 유물 450여점으로 꾸며졌다. 장용준기자
27일 ‘수중유물, 고려바다의 흔적' 특별 전시회가 개막한 인천 연수구 인천시립박물관에서 시민들이 특산물이 적혀있는 목간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10월 17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은 중국 원나라 무역선인 ‘신안선’을 발굴한 지난 1976년터 2019년까지 약 40년간 서·남해안 바다속 고려시대 선박 등에서 발굴한 유물 450여점으로 꾸며졌다. 장용준기자
27일 ‘수중유물, 고려바다의 흔적' 특별 전시회가 개막한 인천 연수구 인천시립박물관에서 시민들이 고려시대 청자들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10월 17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은 중국 원나라 무역선인 ‘신안선’을 발굴한 지난 1976년터 2019년까지 약 40년간 서·남해안 바다속 고려시대 선박 등에서 발굴한 유물 450여점으로 꾸며졌다. 장용준기자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