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서정, 한국 최초 ‘부녀 올림픽 메달’ 체조서 이뤄내

아버지 여홍철 교수 애틀랜타 대회 도마 銀 이후 같은 종목서 동메달

2020 도쿄올림픽 기계체조 여자 도마에서 동메달을 딴 여서정이 동메달을 목에 걸고 환하게 웃고 있다.연합뉴스

‘경기의 딸’ 여서정(19ㆍ수원시청)이 2020 도쿄올림픽 기계체조 여자 도마에서 귀중한 동메달을 획득, 대한민국 최초 부녀(父女)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됐다.

여서정은 1일 일본 도쿄 아리아케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도마 결선에서 도마 결선에서 1, 2차 평균 14.733점으로 레베카 안드라데(브라질·15.083점), 마이케일러 스키너(미국·14.916점)에 이어 동메달을 차지했다.

이로써 여서정은 1996년 애틀랜타 대회 남자 도마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아버지 여홍철(50) 경희대 교수와 같은 종목에서 부녀 최초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됐다. 더불어 수원시청 소속 첫 올림픽 메달리스트로 탄생하는 감격을 누렸다.

1일 오후 일본 아리아케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기계체조 여자 도마 결승전. 한국 여서정이 연기를 펼치고 있다.연합뉴스
1일 오후 일본 아리아케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기계체조 여자 도마 결승전. 한국 여서정이 연기를 펼치고 있다.연합뉴스

이날 여서정은 1차 시기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난도 6.2점짜리 ‘여서정’을 펼쳐 15.333점의 압도적인 점수로 금메달도 기대했으나, 2차 시기서 14.133점에 머물러 아쉽게도 동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한편, 여서정은 어머니 김채은씨도 도마가 주종목인 국가대표 체조 선수 출신으로, 부모의 우월한 DNA를 물려받아 경기체고 1학년이던 2018년 자카르타ㆍ팔렘방 아시안게임 여자 도마에서 역시 최초의 금메달을 일궈내며 ‘도마요정’으로 떠올랐다.

2019년 그의 독창적인 기술인 ‘여서정’(힘차게 달려 양손으로 도마를 짚은 뒤 공중으로 몸을 띄워 두 바퀴를 비틀어 내리는 기술로 720도 회전)이 국제체조연맹(FIG) 채점 규칙집에 공식 등재돼 아버지 여 교수가 현역 시절 ‘여 1’, ‘여 2’가 등재된데 이어 부녀 이름을 딴 기술이 이름을 올렸다.

황선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