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현장 관리 속에 이주노동자 산재 사망사고가 잇따르고 있다는 지적(경기일보 3일자 7면)에 시민단체 66곳이 뜻을 모아 일어났다.
민주노총 경기본부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다산인권센터 등 시민단체들은 10일 오전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주노동자의 산재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달 26일 화성시 팔탄면에 위치한 플라스틱 제조공장에서 스리랑카 국적 노동자 A씨(33)가 작업 중 사고로 숨을 거뒀다. 당시 입사 3개월차에 불과했던 그는 사고 전날 오전 9시부터 18시간에 걸친 연속근무에 투입됐고, 기본적인 안전수칙마저 지켜지지 않은 현장에서 끝내 유압 압축기에 머리가 끼여 사망하는 참변을 당했다.
발언에 나선 정경희 공감직업환경의학센터 상임이사는 이 사건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이주노동자의 산재 사망사고는 단순한 ‘불운의 결과’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정경희 이사는 “화성에서 사고가 발생한지 불과 사흘 만에 포천의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홀로 작업에 투입됐던 24세 우즈베키스탄 국적 노동자도 파쇄기에 끼어 희생됐다”며 “최소한의 안전조치가 마련되고 그 안전수칙이 제대로 지켜졌다면 막을 수 있던 죽음”이라고 꼬집었다.
외국인과 관련 없는 시민단체까지 모여 ‘이주노동자의 안전’을 강조하는 이유는 수치로도 드러난다. 지난해 산업재해로 숨진 사망자 882명 중 94명(10.7%)은 외국인으로 집계됐다. 국내 생산가능인구 3천575만명 중 외국인 노동자 비율이 3%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셈인 데다 통계에 잡히지 않는 불법체류자까지 고려하면 그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단체는 ▲이주노동자 산재 사망을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 ▲중대재해 조사 보고서 공개 ▲경기지역 이주노동자 고용사업장에 대한 노동실태 전수조사 실시 ▲고용노동부와 경기도, 도내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한 노동조건 개선 대책 마련 등을 고용노동부 측에 요구했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더는 이주노동자가 죽음에 내몰리지 않길 바란다”며 “그 어떤 누구도 예외없이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에서 최소한의 권리를 누리며 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인 단계라서 별도의 언급은 어렵다”면서도 “이주노동자의 산재 사망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