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의 항공정비(MRO) 산업이 정부 차원의 MRO 성장 기반 로드맵 등을 통해 더욱 탄력적으로 추진할 전망이다.
정부는 12일 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국방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열고 MRO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의결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선 지역간 분산한 투자에 따른 MRO 클러스터 중복투자 등을 막기 위한 ‘지역별 특화 분야 육성’을 유도하기로 했다.
종전 사천공항은 기체중정비·군수 분야를 중점으로 추진하고, 인천공항은 해외 복합 MRO 업체 유치 등으로 전문 분야를 차별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지자체·공항공사 등이 협의체를 구성하고서 지역 간 이견을 조율하고, 상생 방안을 마련해 클러스터 조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MRO 클러스터 내 기업 입주 시 사업부지·정비시설 저리임대 및 조세감면 등을 맞춤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5월 인천공항공사는 국토부와 인천시 등과 함께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과 국내 MRO 업체인 ㈜샤프테크닉스K와 별도 합작법인을 설립해 항공기 개조사업을 추진하는 투자유치 MOA를 하기도 했다. 또 공항공사는 최근 미국의 A항공사와 항공기 개조사업 및 정비 관련 투자유치 합의각서(MOA) 등에 대한 협의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여러 MRO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국내 MRO 처리 규모는 지난해 7천억원에서 2030년 5조 원으로 MRO 분야 일자리 수는 지난해 7천명에서 2030년 2만3천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노형욱 국토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우선 해외 정비의존도를 30% 내로 줄이고, 국내 정비시장 규모를 7배 이상 확대할 예정이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항공기 정비분야에 대한 ‘한·미 항공안전협정(BASA)’를 추진하고, 국내 인증 활성화를 위한 인증 인력양성 전문교육과정 등도 개발할 방침이다. BASA가 이뤄지면 국내 인증만 받아도 미연방항공국(FAA) 인증이 필요한 항공기를 국내에서 정비할 수 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