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도시외교 업무’ 국제 전문기관 운영 시급

인천시가 코로나19 등으로 급변하는 새로운 대외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외교’ 업무 기능 강화가 시급하다.

12일 시에 따르면 국제사무 총괄부서인 국제협력과를 포함해 8개 본부와 국의 10개 과, 14개 팀이 국제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 부서는 동북아 평화·번영의 도시외교 비전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해외도시와의 국제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를 맡고 있다.

그러나 이들 국제교류 사업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컨트롤 타워가 없는 상태다.

인천연구원은 최근 관련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조직 구조 탓에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대한 대비나 선제적 대처가 어려움이 크다고 진단했다.

특히 시의 업무 대부분이 유엔재난위험경감동북아사무소(UNDRR), 녹색기후기금(GCF) 등 인천에 있는 국제기구 협력사업에 머무르는데다 교류국가가 중국에 편중해 다양한 국가와의 교류 기회가 적다.

게다가 중앙정부인 국가가 코로나19로 책임과 의무의 한계 상황에 놓인데다 세계도시체제 발달로 지자체가 국제공조의 주체로 떠오르고 있지만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의 도시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시가 ‘국제 전문기관’을 설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국제 전문기관은 전문적 역량과 경험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도시외교를 추진하기 위한 신규 사업 발굴과 이에 대한 발전 방향 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 인천연구원은 인천관광공사 내 국제업무 기능 복원, 민·관 위탁운영, 시 지원기구 및 포럼의 협의체 구성 등 여러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실행할 것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국제사무 총괄부서인 국제협력과의 조직 간 도시외교 허브 기능을 강화해 국제교류 사업의 내실화를 이뤄야 한다고 봤다.

인천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인천 도시외교 발전을 위한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한 인천 도시외교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과 내부적 역량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