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무원, 코로나19 자가격리자 모니터링 격무에도 수당조차 못받아

인천지역 공무원들이 코로나19 관련 격무로 지쳐가고 있다. 기존 업무 외에 폭증한 자가격리자 모니터링까지 떠 안았지만, 관련 수당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16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은 코로나19 4차 대유행 이후 자가격리자 폭증으로 공무원 1명당 최대 3명의 자가격리자를 관리하고 있다.

기존 업무와 함께 1일 1회 이상 자가격리자의 발열, 식사, 이탈여부를 확인하고 자가격리 애플리케이션(앱) 안내 등을 해야 한다. 특히 자가격리자의 격리장소 이탈이나 연락 두절 시 현장을 직접 확인해야 해 업무 부담이 크다.

지난 달 지역 내 한 기초단체 소속 공무원 A씨는 자가격리자가 격리장소를 이탈하면서 오후 8시30분이 넘도록 격리장소에서 대기해야 했다. 또다른 공무원 B씨는 최근 자가격리자가 여러차례 통화를 해도 연락이 닿지 않아 왕복 3시간이 걸리는 격리장소에 직접 방문해 자가격리자의 상태를 확인하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행안부가 지난해부터 전국 지자체에 권고한 자가격리자 모니터링 공무원 비상근무수당 조차 받지 못하자 인천지역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인천지역 기초단체 10곳 중 관련 수당을 지급하는 곳은 1곳도 없다. 반면 경기 19곳, 서울 12곳, 충북 10곳, 강원 7곳, 전남 5곳, 광주 3곳 등 다수의 기초단체가 관련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공무원 C씨는 “타지역에서는 수당이 나오는 것으로 안다”며 “요즘 같이 자가격리자수가 폭증해 업무 강도가 커진 상황에서 누군주고 누군 안 주는 건 사기가 떨어진다”고 했다.

공무원 D씨도 “어르신에게 앱 설치를 안내하기도 어렵고, 연락이 안 닿거나 이탈 시 현장으로 신속히 이동해야 해 다들 신경이 곤두서있다”고 했다. 이어 “사기 진작을 위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한 기초단체 관계자는 “비상근무수당은 보건소 등 직접적으로 코로나19 환자들과 대면해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들 위주로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휴가지급 등 비금전적인 보상을 고려할 순 있겠지만, 재정문제가 걸려 있어 수당 지급은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강우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