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동산 중개보수 하락 등 개편 방안을 내놓으면서 업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지고 있는 거래절벽과 이미 과포화된 시장이 이들의 설자리를 앗아가고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최근에는 반값 부동산 플랫폼까지 등장하며 업계 종사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
17일 국토교통부는 중개보수가 과도하다는 소비자들의 여론에 따라 ‘부동산 중개보수 및 중개서비스 개선방안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이미 위기에 직면한 공인중개사들을 더욱 궁지로 몰아넣는다는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의왕지역에서 부동산중개업을 하는 A씨(45)는 “최근 동네에 대형 반값 부동산 플랫폼이 들어와서 지역 부동산업계가 전체적으로 침체됐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중개보수까지 낮춘다니 일을 그만 두라는 것 아니냐”고 분개했다.
수원지역의 한 공인중개사 B씨(58ㆍ여)는 “상한요율은 말 그대로 상한선일뿐 하한선은 정해져 있지 않아 오히려 가격을 낮추려는 경쟁이 심하다”며 “언론을 보면 9억짜리 아파트를 거래할 때 810만원의 수수료를 받는다고 하지만 실제로 받는 금액은 절반도 채 되지 않고 거래자체도 없다. 또 공인중개사가 너무 많아 파이가 매우 작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공인중개사는 전국 약 45만명의 자격증 소지자 중 11만5천여명만 업계에 종사하고 있다. 이미 과포화상태로 이마저도 연간 1만여개가 폐업하거나 휴업에 돌입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경기지역에서만 올해 상반기 1천838개의 부동산이 폐업하고 90개가 휴업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부동산 중개업은 돈을 많이 번다는 인식이 있지만, 그런 사람들은 극히 일부일뿐”이라면서 “지금같은 상황에서 이 같은 정부의 결정은 업계의 목소리를 무시하는 독단적인 처사”라고 역설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