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경선 규칙 ‘역선택 방지 조항’ 신경전

국민의힘이 31일 대선 경선후보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게임의 룰’인 경선 규칙을 놓고 대선주자 간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여론조사에 범여권 지지층이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선택 방지 조항’을 놓고 일부 주자들이 강력 반발하면서 갈등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앞서 경선준비위원회는 ‘역선택 방지 조항’이 빠진 경선룰을 결정했지만, 정홍원 선관위원장은 확정된 안이 아니기 때문에 선관위가 다시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 위원장을 향해 “이미 확정된 경선룰은 토씨 한자도 손대지 말라”며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는 순간 공정한 경선은 끝장난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그런 식으로 경선판을 깨겠다면 그냥 선관위원장에게 사퇴하라”면서 “오직 윤석열 후보만을 위한 불공정한 경선룰을 만들어 경선판을 깨고 정권교체에 실패한다면, 모든 책임은 정 위원장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의원도 페이스북에 “당 역사상 대선후보 경선에서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은 사례가 한번도 없었다”며 “갑자기 특정 주자들을 위해 경기 규칙을 바꾸겠다는 것과 다를바 없는 경선규칙 개정은 경선을 파탄으로 몰아가는 이적행위이다”고 비판했다.

반면 최재형 캠프 이규양 언론특보는 논평을 내고 “역선택 방지는 원칙의 문제이자 당위”라면서 “특정후보의 유·불리를 떠나 민의를 왜곡시켜 선거제도의 근본을 무너뜨리는 일이며, 선거제도 차제를 파괴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윤석열 후보는 전날 세종 방문에서 기자들과 만나 역선택 등 경선룰과 관련, “당 선관위가 정한 것을 따를 것”이라며 원론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하태경 의원은 “경선을 시작도 하기 전에 역선택 문제로 파국 위기를 맞고 있다”면서 “1·2차 컷오프와 결선까지 모든 과정에 당원투표 50%를 반영하는 선에서 역선택 방지조항과 관련한 논란을 종식하자”고 제안했다.

이는 경준위가 1차 컷오프 ‘여론조사 100%’, 2차 컷오프 ‘여론조사 70%, 당원투표 30%’, 최종 후보 선출 ‘여론조사 50%, 당원투표 50%’로 결정한 것에 대해 역선택 방지 조항을 빼는 대신 3차례 모두 당심·민심을 50%씩 반영하는 것으로 절충하자는 뜻으로 해석된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