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돌봄사업’ 국민 4명 중 3명 모른다…“지역 문화재 알려야”

문화재 관람경험별 문화유산 영향력 평가.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 훼손 방지 및 보존 유지를 위한 ‘문화재 돌봄사업’에 대해 국민 4명 중 3명이 모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문화재청은 경기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7월26일부터 8월6일까지 전국 1천여명을 대상으로 문화재 돌봄사업 가치인식도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국민 24.8%가 이 사업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4명 중 1명에 불과한 수준이다.

사업 인지도별 사업 필요성. 문화재청 제공
사업 인지도별 사업 필요성. 문화재청 제공

앞서 2010년부터 시작된 ‘문화재 돌봄사업’은 지정문화재는 물론이고 비지정문화재까지 포함해 정기 점검ㆍ상시 수리 등을 하는 활동을 말한다. 현재 경기도를 포함해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에서 23개 사업단이 문화재 8천여곳을 관리하는 중이다.

경기도의 경우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돌봄센터가 9개 관리반을 통해 31개 시ㆍ군을 권역별 나눠 살핀다. 관리반이 돌보는 문화재는 ▲국가등록문화재 ▲국보 ▲보물 ▲사적 ▲시ㆍ도기념물 ▲천연기념물 등 총 1천275곳이 대상이다. 전국 문화재의 15.9% 상당이다.

이번 조사에서 ‘문화재 돌봄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82.4%에 달하며 높게 나타났다. 또 응답자 63.9%가 ‘문화재 관리정책이 사후 예방에서 사후 예방 체계로 바뀌었다’고 답하기도 했다. 문화재청은 국민들이 문화재 훼손 등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 ‘사전 예방’ 단계에서의 보존ㆍ관리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문화재 관람경험별 주민 참여의향.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 관람경험별 주민 참여의향. 문화재청 제공

아울러 문화재 돌봄사업과 여타 보존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자는 65%로 집계됐다. 참여 의사는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뚜렷하게 나타났고, 문화재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사람의 찬성 비율은 평균보다 10%p 높았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돌봄사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 문화재의 가치를 알려야 한다는 답변이 비교적 많았다”며 “사업 추진을 위해 전문 인력 확보, 주민 참여 활성화 등에 노력할 것이며 정책적으로도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