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연구원, 연구 총량·지역 기여 다 부족하다

서울연구원이 지난해 12월 ‘한국정책대상 정책상’을 받았다. 한국정책학회가 주는 권위 있는 포상이다. 연구원이 2019년 2월 구정연구지원센터를 설립했다. 25개 자치구의 구정연구단 설치 및 운영 지원과 연구역량 제고를 도모한 제도다. 경기연구원의 최근 외부 수상 실적과 비교된다. 트위터ㆍ블로그 활동 등을 인정받은 ‘SNS대상’이 유일하다. 이게 연구원 목적에 맞는지도 갸웃거려진다.

연구 기관은 연구를 하는 곳이다. 무형의 재화를 생산하는 것이다. 연구의 많고 적음만으로 평가할 수 없다. 개별 연구의 질(質)도 함부로 비교할 일이 아니다. 그래서 비교하게 되는 몇 가지 평가 기준 중에 외부 기관의 상(償)이 있다. 전문 정책 기관에서 매기는 점수나 서열이다. 서울연구원의 한국정책대상 정책상은 그래서 평가할만하다. 경기연구원이 많이 아쉽다. 사실 이런 아쉬움은 포상 말고도 여러 부분에서 지적된다.

연구원이 올해 공개한 연구보고서는 29개다. 최근 3년간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연구보고서 수가 있다. 2018년 146개, 2019년 125개, 지난해 153개다. 연구보고서 발간은 연말에 집중되는 게 통상이다. 연말까지 집계하면 평년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연구원 설명이다. 하지만, 서울연구원과 비교하면 이 설명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현재까지 서울연구원의 연구보고서는 53개다. 똑같은 조건을 감안했는데 경기연구원이 절반이다.

도내 시ㆍ군 수탁연구 실적도 저조하다. 최근 3년간 공개된 경기연구원의 연구보고서는 총 423개다. 이 중 도 및 시ㆍ군의 의뢰를 받아 연구한 실적은 2018년 23건ㆍ2019년 18건ㆍ지난해 21건 등 총 62건(14.6%)에 불과하다. 도를 제외하면 각 시ㆍ군 수탁연구 실적이 더 떨어진다. 2018년 4건, 2019년 4건, 지난해 9건 등 단 17건이다. 자체 연구원이 있는 수원 등 몇곳을 제하더라도 나머지 시군의 물량이 상당했을 텐데 이렇다.

지역 편중도 지적받아야 할 일이다. 경기북부 직접 문제를 다룬 연구보고서가 상대적으로 적다. 2018년부터 올해까지 공개한 440여개 연구보고서 중 경기북부 관련 연구는 50여건(11.3%) 뿐이다. 인구 비율(349만명ㆍ도 전체 25.9%)과 비교해도 현저히 낮다. 기본적으로 북부의 연구 수요가 적었다고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런 논리면 ‘특별한 피해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라는 도정 가치와 안 맞는다.

경기일보가 이 문제를 연속해 보도했다. 기사를 접한 도민들이 얘기한다. ‘경기연구원은 도대체 뭐 하는 곳이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