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ㆍ독립야구 선수들 프로 육성선수라도 입단 위해 발품

성균관대 천현재ㆍ시흥 이종혁 등 준척급 미지명에 ‘테스트ㆍ입단제의 오매불망’

성균관대 천현재
성균관대 천현재

2022 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가 지난 13일 막을 내린 가운데, 대졸 예정자와 독립리그 선수들이 육성선수라도 프로팀에 입단하기 위해 고단한 발품을 팔고 있다.

지난 17일 만난 성균관대 야구부의 포수 천현재(23)는 4년 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서 지명을 받지 못했지만, 프로에 꼭 가기 위해 매일 5~6시간 맹훈련 중이다.

천현재는 부경고 1학년 때 4할 타율을 기록하는 등 고교ㆍ대학 무대서 7년간 아마추어 최고의 포수로 활약했다. 해당 기간 동안 112번의 공식경기서 타율 0.361을 기록했고, 2019년 왕중왕전과 올해 전국대학선수권서 MVP에 오르는 맹활약을 펼쳤지만 고교 때에 이어 대학 졸업을 앞두고 프로의 부름을 받지 못했다.

이연수 성균관대 감독은 “포수로서는 흔치 않은 좌타자인데다 빠른 발로 외야 겸업도 가능한데 프로에 지명되지 못해 안타깝다”라며 “백방으로 포수와 외야수가 급한 프로 구단을 수소문하고 있다. 저 정도 수준의 선수가 프로에 가지 못한다면 저학년들의 사기 저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또한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의 시흥 울브스 유격수 이종혁(22)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서울디자인고 재학시절 손목 힘을 인정받아 프로 스카우트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프로행에 실패했고, 여주대에 진학했다가 자퇴 후 올해 독립리그 19경기서 타율 0.296으로 준수한 활약을 했음에도 드래프트서 호명을 받지 못했다.

이종혁은 “매번 드래프트 전 이름이 오르내린다는 이야기를 듣고 기대를 가졌으나 두번 모두 실패했다. 상실감이 크지만 계속 팀 훈련을 하면서 육성선수 입단을 타진하는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시흥 울브스 이종혁_
시흥 울브스 이종혁_

프로야구는 15년전부터 고졸 선수 위주의 선발이 이어져 오며 군복무 기간 공백을 이유로 대졸과 독립리그 소속 선수들의 평가가 박해졌다.

다만 프로야구에는 정식 지명선수 외에도 육성선수가 있다. 육성선수는 일종의 ‘연습생’으로 각 구단별 비공개 테스트와 입단 제의를 통해 선발이 이뤄진다. 대졸 중에서는 윤요섭(KT 코치), 손시헌(NC 코치) 등이 육성선수 입단 후 두각을 보여 주전급으로 거듭나기도 했다. 아울러 지난 2019년부터 프로 구단들의 합의로 고졸 선수를 육성선수로 받지 않기로 합의해 대졸과 독립리그 선수들의 프로행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 구단 관계자는 “모든 구단이 드래프트 종료 직후 준척급 미지명 선수를 확보하고자 벌써부터 테스트 권유와 입단 제의 등 물밑 작업에 들어간 상태”라며 “팀마다 일정은 다르지만 대학ㆍ독립리그 지도자ㆍ선수들과 꾸준히 연락을 주고 받고 있는 단계다. 정규시즌 일정이 모두 끝나는 11월이면 육성선수 선발 윤곽이 드러날 것이다”라고 밝혔다.권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