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반대하고 있는 언론계가 신뢰 회복과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해 자율규제기구를 설립한다.
방송기자연합회와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여기자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등 7개 언론단체는 23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 설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언론계 대표적인 현업단체와 사용자단체인 이들 7개 단체는 공동성명을 통해 “언론중재법 개정 추진 과정에서 언론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국민의 질책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전했다. 이어 “언론중재법 개정 반대 목소리만 낼 것이 아니라 이를 계기로 언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자정 노력을 기울이자고 의견을 모았다”며 강력하고 실효적인 자율규제 체제를 만들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는 조속한 시일 내에 학계ㆍ언론계ㆍ전문가 등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춘 인사로 연구팀을 구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이 기구에 포털 등 플랫폼 사업자와 유료방송사업자 등도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는 개별 언론사에 맡겨왔던 인터넷 기사에 대한 팩트체크 등을 심의ㆍ평가해 이용자에게 제시하며, 심의ㆍ평가 결과를 언론사에 알려 잘못을 바로잡고, 저널리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김동훈 한국기자협회장은 “실질적으로 언론이 바뀌고 대안을 내놔야 한다는 뜻을 모아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 설립을 추진하게 됐다”며 “자율규제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시비가 있을 수 있겠지만, 우리 스스로가 약속하고 정한 룰이다. 우리가 정한 룰 속에서 실효성을 얻으려면 유선방송 사업자와 포털 등 사업자단체도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