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국전력이 23일 올 4분기 전기요금 인상을 발표한 가운데, 경기도 주요 소상공인단체들은 일제히 반발의 목소리를 높였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2년째 계속된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가 요금체계를 다시 개편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먼저 중소기업중앙회 경기본부는 이번 4분기 전기요금 인상으로 중소기업 경영난은 더욱 가중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제조원가 대비 전기요금 비중이 15% 정도인 중소기업의 피해를 예상해서다.
중기중앙회 경기본부 관계자는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중소기업은 더욱 폐업의 길로 접어들게 됐다”면서 “정부는 ‘중소기업 전용 요금제’ 등 별도의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 중소기업 CEO연합회는 코로나19로 피해가 여전히 심각한 만큼 어느 정도 경제가 회복할 때까지는 전기를 비롯한 모든 공공요금에 대한 인상은 보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 소상공인연합회는 버티고 버티다 결국 폐업을 결정한 뒤 스스로 생을 정리하는 소상공인들이 늘어나는 현실을 꼬집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기 요금 인상은 소상공인을 두 번 죽이는 정책이라며 날 선 비판을 가했다.
도 시장상인연합회 또한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면서 동시에 돈을 빼앗아 가는 이상한 구조를 정부가 만들었다”며 “회원들과 충분한 의견을 거친 후에 정부 측에 우리의 강력한 행동과 목소리를 들려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밖에 수원상공회의소는 코로나19로 많은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희망만은 잃지 않고 잘 버텨내고 있었다면서 치솟는 소비자물가에 전기요금까지 오르면 도산에 빠지는 기업들이 생겨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정부는 코로나19 확산과 물가상승 우려에도 액화천연가스(LNG), 유연탄, 유류 등 연료비 가격이 최근 급등해 전기요금을 올렸다. 이번 인상 발표로 월평균 350㎾h를 사용하는 4인 가구의 전기료는 매달 최대 1천50원 오를 예정이다. 전기요금이 오른 것은 2013년 이후 8년 만이다.
김경수ㆍ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