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복지관 경로식당이 코로나19로 1년8개월째 문을 닫으면서 노인들의 끼니걱정이 깊어지고 있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무료대체식 지원 대상이 아닌 노인 중에는 하루에 한끼로 버티는 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에는 인천지역 21곳의 경로식당이 2천~3천원의 가격으로 노인들에게 점심식사를 제공했다. 자녀의 소득 수준 등에 따라 무료급식 대상에 오르진 못했지만 소득이 없는 사각지대 노인들을 위한 조치다. 시는 코로나19 이전 경로식당에서 점심을 해결하던 노인이 2천500여명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날 동구노인복지관에서 만난 A씨(84)는 요즘 매일같이 복지관에 찾아온다고 했다. 무료급식 대상자에 이름이 올랐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1개월 소득이 노령연금 24만원 뿐이라는 A씨는 그동안 경로식당을 이용해왔지만, 문을 닫자 무료급식을 신청해둔 상태다. A씨는 “자식이 있어도 지원해줄 형편이 안되다 보니 하루에 한 끼로 버티기도 한다”고 했다.
만수종합사회복지관 앞 정자에서 만난 B씨(82)는 검정봉지에 든 송편을 노인 3~4명에게 나눠주고 있다. B씨는 “복지관 대체식을 받지 못해 굶는 사람들이 있어 이렇게라도 점심을 해결하라고 나눠주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지역 내 한 복지관 관계자는 “그동안 무료급식대상자 만큼 경로식당을 이용하는 노인분들도 많았다”며 “경로식당 문을 닫자 특히 남성 독거노인들이 ‘점심 해결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는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 때문에 노인들의 건강과 ‘위드코로나’를 준비하기 위해서라도 경로식당 운영을 재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인천의 70대 이상 노인들의 예방접종률이 90% 가량이라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예방접종자를 대상으로한 식당 운영에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시는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방역방침을 다시 논의해 경로식당 운영 재개를 검토하겠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위드코로나’상황 속 방역방침들을 고민하고 있다”며 “시설들과 논의해 정원을 감축해 운영하는 등의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