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스마트공장의 대다수가 과거 자동화와 정보화 단계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마트공장의 고도화를 이뤄낼 수 있는 업체에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연구원은 지난 2014년 이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에 참여한 711개 업체 중 216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태를 파악했다. 대상 업체 중 부분적 표준화 및 실적정보 관리나 생산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등 ‘기초’ 수준(1~2단계)에 머문 업체는 111곳(51.3%)으로 나타났다.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제어가 가능한 ‘중간’ 수준(3단계)은 88곳(40.7%)이다. 이는 과거 자동화와 정보화 단계와 비슷한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전 대응 및 의사결정 최적화가 가능한 ‘중간2’ 수준(4단계)은 15곳(6.9%), 모니터링부터 제어 및 최적화까지 자율 운영이 가능한 ‘고도화’ 수준은 2곳(0.9%)에 그친 상태다.
또 지능화 서비스를 위한 요소인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공장 시스템 등은 1~2%의 사업체만이 도입하는데 그쳤고, 스마트센서·머신비전, 제어기기 장비의 도입 비율도 6~7%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쳔연구원은 스마트공장이 데이터에 기반한 예측, 의사결정의 지능화, 그리고 자율생산을 지향하는데도 여전히 현장에선 생산정보 수집, 설비 자동화 요소 도입, 공정개선을 위한 데이터 활용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인천연구원은 지난 7년 동안 시가 스마트공장 보급에 나서 인천에 스마트공장의 보급·확산이 일정 수준 이뤄졌지만, 지능화 설비시스템의 구축과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모델의 혁신 사례가 미흡하다고 봤다.
이에 따라 인천연구원은 단기적으로 뿌리업종이나 기계장비, 화장품 업체 등 특화한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사업을 세분화하는 것을 비롯해 현장 문제 해결형 스마트공장을 기반으로 한 미래인력개발 사업,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지원을 위한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등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태림 연구위원은 “장기적으로 제조업체의 지능형 데이터 플랫폼 사업모델 개발 지원, 스마트공장 기반 일·학습 병행제 시범사업 추진 등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어 “특화 제조데이터 센터 유치 등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는 지역 제조데이터 인프라 구축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