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혜 의혹’이 불거진 안양 박달스마트밸리(서안양 친환경 융합) 조성사업(경기일보 9월23일자 1면)이 돌연 취소된 가운데, 안양도시공사가 5일 민간사업자 재공모에 나선다. 사업자 공모를 취소한 지 20일만이다.
대장동 개발과 연관성 의혹에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박달스마트밸리의 사업자를 다시 모집하는 상황에서 시민들도 사업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를 동시에 나타냈다.
4일 안양도시공사에 따르면 도시공사는 5일 민간사업자 재공모를 공고한 뒤 오는 12~14일 사업참여의향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박달스마트밸리는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탄약대대 일원 328만㎡ 가운데 114만㎡에 탄약고를 지하화하고, 나머지 214만㎡에 4차 산업 중심의 첨단산업과 문화ㆍ주거가 어우러진 스마트복합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만 1조8천억원에 달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앞서 도시공사가 지난 8월 1차 진행한 사업자 공모 당시 105곳의 기업이 참여의향서를 제출했다. 이후 질의ㆍ회신기간 내 공모지침서상의 '재무적 출자자(금융기관) 평가기준'이 제한적으로 명시되면서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이에 도시공사는 공고 지침서상 일부 평가기준의 공정성 논란 등으로 인해 향후 사업 절차가 지연될 소지를 최소화 하고, 특히 재무적 출자에 대한 문턱을 낮추기 위해 지난달 16일 사업자 공모를 취소했다.
이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개발사업에서 1천억원 이상의 배당금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화천대유’ 관계사인 천화동인 4호(소유주 남욱)가 이름을 바꿔 ㈜엔에스제이홀딩스로 참여의향서를 제출한 것이 드러나며 또 한 번 논란이 됐다. 일각에선 대장동 개발 논란과의 연관성 때문에 사업자공모를 돌연 취소한 것 아니냐는 의혹 또한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도시공사측은 “재무적 출자에 대한 금융기관의 문턱을 낮추기 위한 것에 따른 조치였다”며 “이번 재공모를 통해 금융사 등의 진입장벽을 해소하고, 우수한 업체들의 참여를 유도하겠다”고 해명했다.
이 같은 상황에 시민들의 반응도 기대와 우려 등 제각각이었다.
안양시민 A씨(37)는 “이 사업은 인천2호선 안양연장과도 연관이 있는 만큼 조속히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돼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으면 좋겠다”면서 “특혜 의혹이 해소되는 것은 당연히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지지부진한 사업 진행으로 지역 발전을 위한 사업이 난관에 빠지는 것도 불행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또 다른 시민 B씨(44)는 “공모가 한 차례 취소됐던 만큼 신중을 기해 재공모를 해야 할 것 같다”면서 “특히나 화천대유와 관련된 특혜 논란이 전국민적 이슈가 된 상황에서 보다 철저한 검토와 관리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라고 의견을 전했다.
또한 C씨(51)는 “이 사업이 정부와 지자체가 공약으로 내걸고 추진하고 있는 사업인 만큼 실현되야 하는 일인 것은 분명하다고 본다”면서도 “특정한 인물의 부를 축적하는 도구가 된다면 안하느니만 못하는 사업 아니겠는가. 재공모를 한다고 해도 사업 진행 과정이 평탄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김경수ㆍ노성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