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에 돌봄 비상... 경기도 '긴급 돌봄' 추진

코로나19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경기도가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을 통한 긴급 돌봄을 추진한다.

돌봄 종사자 또는 가족이 확진됐을 때 노인이나 영유아가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는 공백을 메우겠다는 취지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2021년 경기도사회서비스원 긴급돌봄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사업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계획에 따라 가정이나 사회복지시설에서 경기도나 일선 시ㆍ군에 긴급 돌봄을 요청하면, 도와 시ㆍ군이 경기도사회서비스원(긴급돌봄지원단)에 전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후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은 가정이나 사회복지시설에 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긴급돌봄 서비스의 유형으로는 재가ㆍ시설분야로 나뉘며 노인과 장애인, 영유아에 따라 제공 서비스가 달라진다. 재가 분야에서 노인에게는 신체수발과 가사 지원이, 장애인에게는 신체활동ㆍ가사활동 ㆍ사회활동 지원과 방문 목욕 및 방문간호가 제공된다.

영유아에게는 학교 및 보육시설 등하원과 임시보육(놀이활동, 간식 챙겨주기 등)이다.

시설분야에서는 노인에게는 일상생활 및 여가활동과 건강관리 및 재활치료 등이 서비스로 제공되며 장애인에게는 생활지도와 작업지도 등이다. 영유아에게는 아동복지시설 내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는 긴급돌봄 서비스를 위해 모집된 인력이 현장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교육도 병행한다. 긴급돌봄서비스 역할과 직무내용 등 공통교육을 시작으로 비상연락체계, 서비스 제공 진행 절차, 돌봄대상자 개인위생 및 안전 등에 대한 직무 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실습교육도 진행해 긴급돌봄인력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겠다는 복안이다. 도는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에 따른 기존 돌봄서비스 중단으로 발생하는 공백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내에서 돌봄 서비스의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