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 자치경찰이 ‘생활안전 중심’ 업무 추진 필요

인천시민들은 자치경찰이 생활안전을 중심으로 한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연구원이 5월1~17일 시민 505명을 대상으로 한 자치경찰의 인식 조사에서 “자치경찰활동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189명(37.4%)가 ‘생활안전을 위한 순찰 및 시설의 운영’을 꼽았다. 이어 ‘아동·청소년·노인·여성·장애인 등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사람에 대한 보호 업무 및 가정·학교·성폭력 등의 예상‘을 응답자 106명(37.4%)이 선택했다. ‘주민의 일상생활 관련 사회질서 유지와 위반행위의 지도 및 단속’이라고는 응답자 75명(14.9%)이 답했다.

현재 인천은 살인·절도·강간·강도·폭력 등 5대 범죄가 다른 범죄에 비해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추세를 보인다. 인천연구원은 이 같은 추세에 대해 인천에서 강력범죄보다 생활안전·질서유지·교통 관련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다만, 인천은 지난해 하반기 시민의 체감안전도가 전국 18개 지방경찰청 중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3년간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또 인천연구원이 인천의 자치경찰제 도입과 관련해 지역 내 중점적인 정책 수립 의견을 수렴한 결과에서는 ‘순찰강화’ 58명(36.3%), ‘교통단속 강화 및 도로시설 확충’ 28명(17.5%), ‘의견창구 확대 및 시민협력’ 14명(8.8%), ‘자치경찰 처우 개선’ 11명(6.9%) 등의 순으로 나왔다.

이와 함께 인천연구원이 관련 전문가들을 상대로 7월1~10일 자치경찰의 정책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응답자들은 ‘생활안전 분야’를 가장 필요한 업무로 택했다. 이들 응답자는 생활안전 중에선 순찰 및 시설의 운영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봤다.

이에 따라 인천연구원은 자치경찰의 기본 방향으로 ‘주민과 협력하는 친근한 자치경찰’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체감치안 향상을 통한 치안 역량 강화’의 능동적 경찰활동, ‘주민참여 확대를 통한 지역치안행정 활성화’의 전략적 주민활동 등 3가지를 제시했다.

김정욱 연구위원은 “방범대 구성이나 보안관 인력을 확충하고 주민자치센터와 협력하는 등의 자치경찰 활동이 필요하다”며 “또 경찰과 소방, 시민단체 등과 유기적으로 협력한 치안협력체계 구축도 중요하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