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 ‘코리아 R&D 패러독스’ 우려…중소·스타트업 유치 등 시급

인천시가 오는 2030년까지 3조6천억원을 투입하는 ‘인천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 사업이 지역 내 바이오 중소·스타트업 기업 부족으로 ‘코리아 R&D 패러독스’에 빠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코리아 R&D 패러독스는 국가예산 투자만큼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한국 특유의 상황을 뜻하는 말이다.

25일 시에 따르면 2030년까지 국·시비 5천억원 등 3조6천억원을 들여 바이오기업 700여개를 유치하고 17만명의 일자리 창출과 1만5천명의 바이오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지역 내 바이오 벤처기업 수는 50여개에 불과하다. 이는 ‘K-바이오 랩허브’ 유치전에서 경쟁했던 대전시의 바이오 벤처기업 311개와 비교하면 15% 수준에 그친다.

바이오산업은 신기술 확보가 핵심이어서 신기술 연구개발(R&D)을 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대기업들은 유망 바이오·헬스케어 기술을 가진 혁신 벤처기업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7월 국내외 바이오 분야 스타트업 지분투자를 통해 스타트업에서 개발한 바이오신약에 대한 사업권과 생산권 확보에 나섰고, 셀트리온 역시 인천 스타트업파크를 지원하며 바이오 스타트업 육성에 대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인천의 바이오 벤처기업 수가 적은 이유로는 인천에 아직 중소·스타트업 기업의 창업과 사업화 인프라가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바이오산업은 장시간에 걸친 고비용의 가치사슬 단계를 보이기 때문에 미리 중소·스타트업 기업을 확보하지 못하면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어렵다. 시 내부에서도 바이오 벤처기업이 충분하지 못하면 코리아 R&D 패러독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바이오 관련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 시는 기업 유치를 위해 지역 내 바이오산업 산·학·연·병·관이 보유한 자원을 활용할 공유 기반 구축에 나선 상태다. 이를 통해 창업과 개발을 촉진하고 비용 절감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바이오 관련 사업들이 현재 시를 비롯해 연구중심병원, 대학, 공공기관 등 기관별로 나뉘어 있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이 경우 데이터 관리가 어려운데다, 인천 바이오산업에 대한 맞춤형 운영 등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바이오산업 자원 공유체계를 총망라하는 인천만의 바이오산업 자원공유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시는 이를 통해 기관정보, 인력, 기술, 시설·장비 등의 정보를 제공, 지역 내 중소·스타트업 기업들이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바이오산업의 연구개발에서 시제품 개발, 임상실험 등 가치사슬(밸류체인)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방안을 찾아 사업 리스크를 줄이는 등 중소·스타트업 기업의 진입장벽을 낮추겠다”고 했다. 이어 “바이오산업 자원을 적재적소에 활용해 코리아 R&D 패러독스 현상을 막고 사업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