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일부 기초자치단체가 관용차량 정비 비용을 특정업체에 몰아주고 있어 분배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연수구는 올해 정비비용 총 4천953만6천520원 중 절반인 2천299만8천800원을 A업체에 몰아줬다. 연수구는 지난해에도 A업체에 2천765만5천100원을 지급해 전체 정비비용의 37%를 몰아줘 연수구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을 받았다. 특정업체에 지나치게 정비비용을 몰아주면 특혜 의혹과 다른 업체의 상대적 박탈감을 불러올 수 있다는 이유다. 하지만 연수구는 오히려 올해 A업체에 더 많은 비율로 정비비용을 몰아줬다.
강화군은 지난 3년간(2019년 1월~2021년 9월) 보유한 본청 관용차량의 정비 427건 중 229건(53.6%)을 B정비업체에 맡겼다. 이 기간 B업체가 벌어드린 비용은 총 3천517만원으로 전체 정비 비용의 37% 수준이다. 강화군이 2번째로 많이 이용한 C업체 이용건수는 20여건, 비용은 200여만원으로 17배 차이가 난다.
부평구 역시 올해 D업체에만 전체 정비비용의 26.1%인 745만300원을 지급했다. 부평구도 지난해 D업체에 전체 비용의 23.3%를 몰아주며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을 받았지만, 개선하지 않았다. 당시 부평구의회는 지역 업체인 한국지엠(GM)을 살려야 한다며 한국GM 차량 구입에 나서면서도 지역 내 매출하락을 겪고 있는 정비업체에 대해선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인천시는 미추홀구, 남동구, 서구, 중구 지역의 정비업소를 배분, 일부 업체의 편중현상을 막고 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특정 업체 편중은 타 업체의 상대적 박탈감 유발, 특혜의혹 등 부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1개 업체에 내는 관리비용의 상한 기준을 둬 적절한 분배를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연수구 관계자는 “가격·지리적 측면에서 1곳에 편중한 경향이 나타난 것 같다”며 “다른 업체를 직원들에게 적극홍보하고 개선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강우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