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된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인구 대비 70%를 넘으면서 정부가 방역체계를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는 것이다.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651일 만에 새로운 일상이 펼쳐진다. 일상생활의 숨통이 트이게 됐지만, 새로운 방역체계를 안착시켜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방역체계 대전환이 현실로 다가오면 확진자가 급증할 수 있다. 접종 완료율이 80%를 넘어도 미접종자가 1천만명 이상 남기 때문이다. 현재 코로나 중환자실은 미접종자로 채워지고 있고, 60대 이상 미접종자의 사망 사례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이 백신 접종을 적극 권유하는 이유다.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환자 치료 방식이 크게 바뀐다. 방역당국의 확진자 관리는 중증 환자 위주로 개편하고, 무증상자와 경증 환자는 기저질환이 있어도 집에 머물면서 지방자치단체의 관리를 받게 된다. 최근 신규 확진자는 줄었지만 격리 중인 환자는 하루 2만5천명 안팎이다. 이 중 재택치료 환자는 2천200∼2천400명이다. 전문가들은 위드 코로나 이후 재택치료 환자가 최대 10만명까지 늘어날 것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며칠 전 방역당국 지침에 따라 재택치료를 받던 60대 코로나19 환자가 사망했다. 이 환자는 21일 갑자기 상태가 악화해 119에 신고했으나 병원 이송이 지체된 사이 심정지가 발생해 숨졌다. 환자가 병원으로 즉시 이송되지 못한 것은 코로나 환자 이송을 전담할 여력이 없는 구급대가 119 신고 접수 후 감염 방지를 위한 특수필름 래핑 작업을 하느라 출동이 늦어진 탓이다. 또 구급대는 환자를 자가격리자로 알고 중앙사고수습본부에 요청해 병원을 지정받느라 추가로 시간이 걸렸다. 재택 치료자는 상태가 악화할 경우 치료받을 병원이 지정돼 있는데 이송할 구급대가 파악하지 못했다. 24시간 코로나 환자 이송을 전담할 구급대 부족, 정보 공유가 원활하지 못한 것 등이 모두 문제였다.
이런 허술한 시스템으로는 재택 치료자가 위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사망할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 재택치료는 의료계 부담을 줄이는 방법이지만, 치료자와 의료진 연결이 원활하지 않으면 재택치료 자체를 유지하기 어렵다. 제대로 작동하려면 대응 시스템이 치밀해야 한다. 연계된 의료기관이 재택 치료자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상태 악화 시 어디로 가야 하는지 상세히 안내해야 한다. 소방재난본부의 밀접한 협력은 물론 구급대 부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재택치료 관리 업무가 지자체에 과도하게 떠넘겨져 있다. 중앙정부가 중심을 잡고 치료 및 이송 시스템을 서둘러 확립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