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수업 내실화 ‘외화내빈’ 시설 투자… 교육의 질 뒷전

시교육청, 장비 마련에 예산 집중
온라인수업 확대·질적 향상 위한
관리·감독 지침 없어 부실화 우려
수업 내용 상향평준화 제도 시급

인천시교육청이 원격수업의 내실화를 통한 미래교육 실현을 올해 시책사업으로 정했지만, 정작 원격수업에 대한 관리·감독 체계조차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원격수업이 본격화하던 지난해 3월부터 현재까지 스마트패드 보급과 학교내 무선 인터넷망 확충 등 쌍방향 원격수업 확대를 위해 투입한 예산만 942억원이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상황이 끝나더라도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교육을 준비한다며 ‘온·오프라인이 혼합한 인천미래교육’을 시책사업으로 선정했다. 해당 사업은 시교육청에 에듀테크 팀을 신설하고, 메타버스 등 쌍방향 소통과 참여가 가능한 원격수업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시교육청은 장비 마련 등 시설 분야에 대한 투자만 할 뿐, 쌍방향 원격수업의 확대와 질적 향상을 이룰 관리·감독 지침은 마련하지 않았다. 현황 파악을 통해 발전 방향을 고민할 실태조사 등도 하지 않아 현행 원격수업의 문제점 조차 확인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학교현장에서는 학교와 교사의 의지에 따라 원격수업의 질이 천차만별인 상황이다. 대다수 초등학교가 쌍방향 원격수업을 1~3시간으로 끝낸 뒤, e학습터와 온라인클래스 등 일방적 원격수업을 통한 과제 제출과 동영상 강의 시청 등으로 시간을 채우고 있다.

인천 미추홀구에 사는 초등학생 A양(11)은 “줌(ZOOM)으로 하는 수업은 1시간 20분 정도고, 나머지 시간에는 e학습터로 공부한다”고 했다. 이어 “e학습터는 선생님이 보는 것도 아니니까 유튜브로 먹방이나 게임방송을 보면서 시간을 채운다”고 했다.

교육계는 시교육청이 코로나19를 계기로 어떤 재난 상황에도 대응 가능한 원격수업 체계를 갖추겠다고 공언한 만큼 상향평준화를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남동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 B씨는 “교사 자율에 맡겨두다보면 개인에 따라 질의 차이가 너무 심해진다”며 “원격수업 자체의 질적 상향평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원격수업 관련 조례를 만들어둔 만큼 이를 토대로 관리·감독하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