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년 실직·주거 등 ‘빈곤’ 심각…인천시, 6천916억원 투입 청년정책 강화

인천지역 청년들의 빈곤 문제가 심각하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지난해 3만여명의 청년이 경제 활동을 멈췄고 청년의 절반 이상이 월세로 사는 등 주거환경도 나쁘다.

28일 시에 따르면 인천지역 만 15세에서 만 39세까지 청년들의 경제활동 인구수는 지난 2017년 61만5천명, 2018년 62만5천명, 2019년 63만1천명이었지만 지난해 59만6천명으로 감소했다. 시는 지난해 경제활동 청년 수 감소 이유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실직, 그리고 구직 포기 등인 것으로 분석했다.

또 시가 청년들의 주거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절반은 월세(50.2%)로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전세가 27.2%, 자가 17.2%, 무상 5.3% 순이다. 이런데도 정책은 전체 대출 지원이 39%나 몰려있고, 월세금 지원은 고작 16.3%에 그친다. 또 국토교통부의 지난해 주거실태 조사에선 지하·반지하·옥탑방 거주 비율은 청년이 2%로 가장 높게 나오기도 했다.

특히 청년 인구는 지난 2013년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다. 인천은 지난 2008년 전체 인구 대비 청년 비율은 33.7%였으나, 2018년에는 29.7%, 올해 6월 기준 28.1%다. 여기에 청년 6천797명이 지난해 타 시·도로 빠져나가는 등 유출도 심각하다.

시는 이 같은 청년 문제가 심각한 만큼, 각종 청년쟁책에 투입할 예산을 배 가까이 늘리는 등 대책마련에 나선 상태다. 시는 지난해 세운 사업비 3천710억원 규모의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6천916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시는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취·창업 일자리 분야에 3천261억원, 청년의 지역사회 안착을 위한 주거·생활 분야에 2천705억원을 투입한다. 또 일과 휴식의 균형을 위한 여가·문화 분야에 456억원, 4차 산업 인력 양성 등 청년 인프라 구축을 위한 배움·체험 분야에는 493억원을 들이는 등 사업 규모를 크게 확대했다.

시는 933억원을 투입해 서구 검단신도시에 청년을 대상으로 한 5천가구의 주거단지를 만들고 전·월세 임대 1천150가구를 공급한다. 이와 함께 근로자 기숙사 2천가구, 청년 월세 3천가구 등 9개 청년 주거 사업에 1천601억원을 투입한다.

안영규 행정부시장은 “인천 청년의 자립 기반과 미래를 대비해 일자리, 주거안정 등 다방면에 걸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지용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