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도 1인가구 급증, 주거·복지정책 틀 바꿔야

혼자 사는 1인 가구 비중이 크게 늘고 있다. 지난 9월 말 기준 전국 주민등록상 1인 세대는 936만7천439세대로 40.1%를 차지했다. 경기도내 1인 가구도 2018년 119만명에서 2020년 140만명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혼자 산 기간은 평균 7년 7개월이다. 1~5년이 전체의 40.2%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높지 않다. 경제적으로 어려워 현재 생활 유지도 벅차고, 노후 준비도 제대로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도내 1인 가구에 대한 실태조사를 했다. 1인 가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조사는 처음으로, 지난 7~8월 20~80대 도내 1인 가구 3천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1인 가구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려는 목적에서다.

도내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8점이었다. 20~34세는 남성 3.81점, 여성 4.14점이었다. 65세 이상은 남성 2.74점, 여성 2.93점이었다. 청년보다 고령층이, 여성보다 남성의 삶의 만족도가 낮았다.

1인 가구에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임대주택 입주 조건 완화 등 주택 안정(4.17점), 낙후시설 보수 등 주거환경 개선(4.06점), 개인 능력개발 프로그램 제공 등 경제·일자리 지원(3.97점) 순으로 꼽았다. 현재 거주 형태는 자가 31.5%, 전세 29.3%, 월세 23.8% 등이었다.

도내 1인 가구의 월평균 총소득은 289만5천원, 월평균 총생활비는 161만6천800원이었다. 전체의 80.4%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 중 65세 이상의 경제활동률은 59.0%였다. 또한 전체 63.2%가 ‘노후 준비를 못하고 있다’고 했으며, 그 이유로 ‘현재 생활 유지도 벅차다’는 의견이 84.2%나 됐다.

전통적인 가족 개념이 확 달라졌다. 고령화와 비혼, 저출산, 개인주의 확산 등의 여파다. 앞으로 1인 가구는 더 늘어날 것이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주거ㆍ복지정책의 틀을 바꿔야 한다. 경기도가 1인 가구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것은 선진행정으로 평가할 만하다. 조사에 그치지 말고 결과를 토대로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1인 가구는 경기도뿐 아니라 전국적인 추세다. 조세ㆍ의료ㆍ복지ㆍ주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 1인 가구가 정책적 사각지대에 방치되지 않게 사회적 관심과 행정시스템 개편 등이 절실하다. 1인 가구의 성별, 연령별 특성을 세심하게 고려한 생애주기별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