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은 경기도민에게 어떤 존재일까. 경기도지사, 성남시장, 사이다 발언, 인권 변호사, 소년공, 흙수저 …. 떠오르는 수식어는 많다. 하지만 ‘대한민국 대통령 여당 후보’만 하랴. 지역주의에 파묻힌 정치판에 경기도지사가 대선후보로 선출됐다. 여론은 그를 재조명하고 도민들은 열광했다. 이재명 후보는 3년여 간 도정을 수행하면서 기본소득 시리즈, 재난지원금, 지역화폐, 계곡ㆍ하천정비 등 전국적 이슈를 만들었다. 도정을 정치에 접목하면서 정무감각을 높였고 정치 내공은 한층 탁월해졌다. 그런데 대선 후보 컨벤션 효과가 없다. 지지율은 20~30% 박스에 걷힌 채 반등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국민을 분노케 한 대장동 개발사업이 발목을 잡은 탓이다. 캠프로서는 아쉬울 수밖에 없지만, 민심이다.
최근 한국갤럽이 대장동 개발사업의 민간업체 특혜 의도성 여부를 조사, 발표했다. 응답자 55%는 당시 이재명 성남시장이 대장동 개발사업에 참여한 ‘민간업체에 특혜를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개입했다’고 봤다. ‘의도적 개입’이라고 보는 시각은 보수성향이 강할 수밖에 없다. 주목할 것은 무당층과 성향 중도층 등에서도 의도성 있었다는 쪽으로 기울었다는 점이다. 특검 도입 여론은 국민 10명 가운데 6~7명에 이르는 걸로 조사됐다. 기반세력인 민주당 지지층 중에서도 41%가 특검 도입을 요구했다. 대장동 의혹을 털어야 대선 승리를 담보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넘어야 할 산은 또 있다. 대통령 국정 수행평가는 긍정이 여전히 높지만, 정권교체 여론도 절반을 넘은 채 꺾일 줄 모른다. 문 정부와 각을 세울 수도 없는 데다 정권교체 여론이 높으니 진퇴양난이다.
이 시점에 그가 꺼낸 카드는 ‘이재명 정부’이다. “이재명이라는 개인 이름 (차원) 보다는 이재명이라는 한 인간의 삶, 정치 역정, 국민의 기대, 이런 측면에서 상징성이 있어 보인다”며 그 의미를 말했다. 친문 입장에서는 따라오려면 와라고 도발하는 것 같다. 하지만 ‘같이 살던가 같이 죽자’는 절박한 외침으로 들린다. 우회 없고 오직 직진, 정면 돌파다. 승부사답다. 도정수행이 그러했듯이….
김창학 정치부 부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