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교육기획위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재구조화ㆍ교원수급 문제 해결돼야”

황진희 의원
황진희 의원

오는 2025년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의 안착을 위해선 학교의 공간 재구조화와 교원수급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소속 황진희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3)은 12일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국 등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고교학점제와 관련해 교원 수급의 불확실한 상황을 우려했다.

황 의원은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의 다양한 교과목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데 있어 좋은 정책”이라면서도 “이렇게 다양한 교과를 가르칠 수 있는 교원 확충 문제에 있어서, 현실과 자료를 보면서 아직 경기교육이 미흡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입시 위주의 현 제도와 고교학점제로 인해 현실과 동떨어진 경기교육의 정책이 학생들한테 합리적인지 우려된다”고 부연했다.

이와 더불어 황 의원은 현재 중학교 2학년과 초등학교 6학년들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 이런 부분에 대해 홍보가 덜 돼 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조은옥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국장은 “자유학년제 대상으로 홍보하고 있고, 초등학교 6학년 아이를 대상으로도 학부모 대상으로도 홍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국장은 이어 교원 수급 우려와 관련해 “(고교학점제의) 교육과정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해 여러 공동교육과정 운영이라든지 마을캠퍼스 지구라든지 꿈의 대학과도 장차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및 연구하고 있다”고 했다.

이기형 의원
이기형 의원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해 학교의 공간 재구조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교육기획위원회 소속 이기형 의원(더불어민주당, 김포4)은 “교육 현장의 공통적인 요구 사항 중 하나는 공간 재구조화”라며 “고등학교에선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공간 확보를 위해 교무실을 줄이고 특화된 교실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과밀 및 과대 학교의 경우 애초에 확보할 공간이 없어 교무실을 줄이거나 도서관을 전면 리모델링하는 방안 등의 이야기가 하는데,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해 모듈러 교실을 활용해 교무실을 더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한편 교육부는 현재 중학교 2학년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오는 2023년부터 고교학점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2025년부터 전국 모든 고등학교에서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정민훈ㆍ박문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