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재생사업 지역 주민간 갈등 고조, 3년째 예산만 낭비

인천시의 더불어마을희망지 사업지역에서 주민간의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수년째 사업을 위한 갈등 해결조차 하지 못하면서 예산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2월 희망지사업 선정을 받은 부평구 ‘웃음샘마을’ 주민 307명은 최근 사업 선정을 반대한다며 시에 해제 의견서를 보냈다. 이와 함께 부평구에도 꾸준히 민원을 제기하는 등 사업을 찬성하는 주민들과 부딪히고 있다.

웃음샘마을 주민 A씨는 “사업 선정을 받고 9개월이 지난 지난해 11월 처음 이 같은 사실을 알았는데, 누가 찬성한다고 개선사업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어 “더불어마을이 되면 재개발도 할 수 없는데, 우리 입장에서는 재개발을 해 마을이 발전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했다.

앞서 2019년 1월 사업지로 선정받은 미추홀구의 도화북측구역 역시 주민 반발이 거세지면서 종전 사업구역이 절반 규모로 줄어든 상태다.

도화북측구역 주민 B씨는 “주민 10명만 찬성하면 사업을 한다는데, 그 사람들이 우리 주민 전체를 대표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더불어마을희망지 사업은 노후 저층 주거지에 대한 도시재생 사업으로, 개선사업 전 주민의 역량강화와 공감대 형성 단계인 ‘희망지사업’과 실시단계인 ‘더불어 마을 사업’으로 나뉜다. 1단계인 희망지사업 대상으로 선정받으려면 해당 부지에 대한 토지나 주택 소유 여부와 상관없이 주소지를 등록한 10명 이상의 주민들만 의견을 모으면 신청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뒤늦게 이 같은 사실을 안 반대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주민간 갈등만 심화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실정이다.

이처럼 반대 주민이 늘어나 실시단계인 더불어 마을 사업으로 이어가지 못하면, 희망지 사업에 투자한 수천만원의 예산은 회수할 수 없다.

박정숙 인천시의원은 “주민 10명만 찬성해 사업을 신청하면 된다는 건 기준 인원이 너무 적은 것”이라며 “10명의 주민들이 어떻게 전체의 의견을 대변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시 관계자는 “다음 도시재생 사업 계획을 마련한다면 이 같은 문제점들을 반영해 신청기준 강화와 인건비 완화 등을 고려하겠다”고 했다.

강우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