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가 역대 최대 규모인 52조7천620억원에 달하는 2022년도 경기도ㆍ경기도교육청 본예산 심의에 돌입한다.
특히 내년도 경기도 본예산에는 도내 원폭 피해자 1세대에게 매월 5만원의 생활지원수당을 지급하는 내용도 포함, 예산안이 심의를 통과할 경우 원폭피해자 지원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으로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21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22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경기도 33조5천661억원, 경기도교육청 19조1천959억원에 대한 2022년도 본예산 심의를 진행한다. 이 중 ‘사회복지 역량 강화 및 취약계층 지원’의 일환으로 ‘경기도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안’에 대한 심의도 이뤄진다. ‘경기도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안’은 경기도내에 거주하는 원자폭탄 피해자 1세대에게 위로와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매월 5만원씩 ‘생활지원수당’을 지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상은 총 150명이고 12개월간 9천만원의 도비가 투입된다. 이번 ‘경기도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안’이 예산 심의를 통과될 경우 사회적 냉대와 무관심 속에서 아픔을 감내해야만 했던 원폭 피해자에 대한 지원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릴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의 역점 사업인 ‘기본시리즈’도 내년도 예산안에 포함, ‘이재명 없는 예산안 심의’에서 각종 사업들이 무사 통과할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경기도 농민기본소득(780억원), 경기도 청년기본소득(1천74억원), 일하는 청년 지원 사업(735억원) 등이 있다. 이와 함께 별내선 복선전철(2천167억원), 긴급복지지원사업(536억원), 자활근로 지원사업(833억원), 지상버스 구입비 지원(600억원),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125억원), 해양레저관광 거점 조성 공사비(54억원) 사업 등이 예산 심의를 받게 된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교육 회복 지원 및 교육복지, 미래교육 기반 조성 등 경기도교육청 예산 심의도 면밀히 진행된다. 저소득층 학습 특별 지원(59억9천900만원), 방과후돌봄운영(23억400만원), 경기꿈의대학운영(75억5천500만원), 미래학교기획관리(3억4천800만원) 등이 있다.
한편 경기도의회는 22일부터 26일까지 상임위별 예산안 심의를 거친 뒤 29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예결위 심의를 진행한다. 이후 다음 달 13일에는 본회의를 열고 2022년도 예산안을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