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4천명을 돌파하면서 정부가 방역 수칙을 다시 강화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 검토에 나선 가운데 경기도내 자영업자들이 노심초사하고 있다. 방역 수칙이 강화되면 또다시 영업이 제한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2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4천115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수도권과 60대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며 의료여력이 급격히 소진되자, 정부는 본격적으로 비상계획 검토에 들어갔다.
이 같은 소식에 단계적 일상 회복과 연말 특수를 발판삼아 매출 회복을 기대했던 도내 자영업자들은 정부의 비상계획 방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평택시 세교동에서 꼬치 전문점을 운영하는 김순희씨(50ㆍ여)는 정부의 비상계획 검토 소식에 착잡한 속내를 털어놨다. 2년째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탓에 매출이 반 토막 난 그는 두 자녀의 학원비와 가족 생활비를 위해 5천만원의 대출을 받은 상황이다.
김씨는 “단계적 일상 회복에 따라 손님이 늘면서 조금씩 숨통이 트이고 있었다”며 “위드 코로나가 시행된 지 한 달이 채 되기도 전에 정부가 비상계획을 검토한다고 하니 벼랑 끝으로 내몰린 기분이다. 다시 영업이 제한되면 나를 포함한 자영업자들의 삶은 회복이 불가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프랜차이즈 카페 대표인 김익수씨(45ㆍ안성시 원곡면)는 “확진자 급증은 심히 걱정스럽다”면서도 “그렇다고 단계적 일상 회복 이전의 삶으로 다시 돌아가면 자영업자들은 더이상 버틸 수 없다. 정부가 자영업자와 국민이 함께 극복할 수 있는 지혜로운 정책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이상백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단계적 일상 회복과 함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늘어나는 것은 이미 충분히 예측됐고, 감당할 수 있는 일이기에 정부가 ‘위드 코로나’ 시행을 결정한 것”이라며 “영업 제한이 다시 발동되면 자영업자들의 반발과 허탈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비상계획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는 등 위기 상황에서 시행할 수 있는 일시적이고 강력한 조치로, 방역패스 확대와 사적모임 제한 강화, 행사 규모ㆍ시간제한, 요양병원 등 면회 금지, 종사자 선제검사, 병상 긴급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