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특별방역대책 발표…도내 자영업자, “한숨 돌렸지만, 불안감 여전해”

정부가 사실상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 1단계를 유지키로 발표하면서 경기도내 자영업자들이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다만 식당ㆍ카페의 사적모임을 축소하고 방역패스를 확대 적용하는 등 추가적인 방안이 검토되고 있어 여전히 자영업자들의 불안감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정부는 29일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 단계적 일상회복 2단계 전환을 유보하고 앞으로 4주간 부스터샷(추가 접종) 확대와 병상 추가 확보를 골자로 한 특별방역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식당ㆍ카페에 방역패스 적용을 확대하고 사적모임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지만, 자영업자들의 반발이 워낙 커 결국 반영되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사적모임을 축소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소식을 접한 도내 자영업자들은 우선 한숨은 돌렸다는 반응이다.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인근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조일조씨(46)는 “연말 예약도 받아둔 상태에서 방역대책 발표를 기다리는 동안 위드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까 봐 조마조마했는데 그나마 다행”이라면서 “다만 사적모임 축소 등이 거론되고 있어 아직까진 마음을 놓을 수 없다”고 토로했다.

오산 오색시장 인근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A씨(34)도 “카페에도 방역패스가 적용되면 손님과 실랑이 벌일 생각에 눈앞이 깜깜했는데 일단 한시름 덜었다”라며 “다만 확진자도 늘고 있고, 부스터샷에 대한 인식도 좋지 않은 것 같아 앞으로가 걱정스럽다”고 우려를 표했다.

연말 대목까지는 자영업자들에 대한 추가적인 방역조치가 이뤄져선 안 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정해균 한국외식업중앙회 상임부회장은 “연말 특수를 앞둔 상황에서 또 갑작스러운 변동이 이뤄지면 많은 자영업자들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최소한 올해까지는 현 상황을 유지하고, 향후 변동사항이 있더라도 대책을 마련할 시간을 주고 방역정책을 발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새로운 변이와 중환자 증가, 입원 병상 부족 등을 근거로 추가적인 방역 조치가 불가피하다고 제언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중환자나 입원 병상 부족 상태가 눈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에, 지금보다 상황이 악화되면 한계 상황에 도달한다”면서 “미접종자를 보호하는 차원에서라도 일상회복에 고삐를 죌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한수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