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업무이관 ‘찬성’ 입장 교원단체…일반직-교원 싸움 불똥 튀나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일보DB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일보DB

경기도교육청 소속 일반직 공무원을 비롯해 전국 일반직 공무원들이 도교육청이 추진하는 교원ㆍ행정 업무의 재구조화 정책 철회를 요구(경기일보 30일자 6면)하는 가운데 교원단체들이 도교육청의 정책 추진을 지지하며 학교업무정상화 투쟁을 예고하고 나섰다. 이처럼 교원단체들이 도교육청에 힘을 실어주면서 교원과 일반직 공무원 간 힘 싸움으로 불똥이 튀는 모양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경기지부는 지난 29일 도교육청 조직혁신TF ‘학교업무재구조화 시범학교’ 운영과 관련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학교업무재구조화 시범학교는 총 4억원 규모로, 공모를 통해 선정한 20개 학교마다 다른 상황을 부여해 사무현장의 적합성, 업무 효율성 등을 살피는 정책이다.

전교조 경기지부 관계자는 “‘학교업무재구조화 시범학교’ 운영은 교육지원업무 및 행정업무를 담당할 행정직을 충원해 학교의 교육행정 사무를 담당하게 하는 혁신적인 조치”라며 “이러한 결과에 경기지부는 건설적인 토론의 과정을 거친 조직혁신TF의 결과가 유의미하다고 판단하며 ‘학교업무재구조화 시범학교’가 차질 없이 운영되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경기도의 전 교사들과 함께 전력을 다해 학교업무정상화 투쟁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교육청 일반직공무원노조 등 전국 교육청 및 일반직공무원들이 지난 29일 오후 도교육청 남부청사 정문 앞에서 학교조직혁신 철회를 요구하는 촛불집회를 하고 있다.조주현기자

또다른 교원단체인 경기교총도 전교조 경기지부와 같은 입장을 밝혔다. 경기교총 관계자는 “교육 정상화를 위해 행정업무가 이관되는 방향성에 동의한다”면서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이 업무를 소화할 수 있게 필요 인력 증원 및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지원책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이 반대편에 선 교원단체 주장에 일반직 공무원 노조 측은 노조원들에게 ‘감정싸움’을 자제하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내며 내부 단속에 나서는 분위기다. 그러나 도교육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각 노조원들(일반직 공무원 노조 및 교원 노조)이 쓴 글들이 잇따라 올라오며 노조 간 ‘온라인 다툼’으로 번지고 있다.

이에 도교육청 일반직 공무원노조 관계자는 “교사들의 불필요한 업무를 경감해줘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일을 떠넘기는 것이 경감은 아니다”라며 “전교조에서 말하는 행정인력 증원은 예산 등 문제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교사들의 업무 경감 방안 중 하나로 외부에 일을 맡기는 방법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조만간 시범학교 등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며 “충분한 소통으로 오해가 생긴 부분을 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민훈ㆍ박문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