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2개월 만에 또다시 총파업…급식ㆍ돌봄 비상

급식 조리원과 초등돌봄 전담사, 유치원 방과후 교사 등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임금인상과 비정규직 차별해소 등을 요구하며 2일 하루 동안 총파업에 돌입한다.

이런 가운데 이번 파업에 경기 조합원 3~4천여명도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경기지역 학교마다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는 1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0만 조합원이 2차 총파업으로 학교 비정규직의 차별을 끝내겠다”라며 “시도교육청은 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 계획을 마련하고 비정규직 차별 철폐라는 사회적 요구에 책임있고 전향적인 자세로 응답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학비연대는 지난 10월20일 진행한 1차 파업 당시 조합원 10만명 가운데 약 4만여명(40%)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일부 학교에서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이 중단(본보 10월21일자 7면)됐다. 경기도에선 급식 조리원과 초등돌봄 전담사 등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7천여명이 총파업에 참여하면서 상당수 학교가 급식ㆍ돌봄교실 운영에 차질을 빚은 바 있다.

파업 당일 경기와 서울, 인천지역 노조원들은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사전 결의대회를 연 뒤 본 대회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학비연대는 경기도에서 3천~4천명의 급식조리사들이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전면등교 시행으로 코로나19 감염 불안에 휩싸인 학부모들은 학비연대 총파업으로 또다시 급식과 돌봄 공백을 마주하게 됐다. 초등학생 자녀들 둔 권영은씨(39ㆍ수원)는 “파업으로 매번 피해보는 것은 학부모와 아이들”이라며 “아이들을 볼모로 연중행사처럼 이뤄지는 파업이 옳은 건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경기도교육청은 학비연대 파업에 대비, 일선 학교마다 상황에 따라 간편식 또는 도시락 제공이 가능하다고 안내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각 학교에 파업과 관련한 안내를 진행했으며, 각 학교에선 메뉴얼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