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리뷰] ‘자연으로 연결하고 회복’…‘국현 과천관 ‘대지의 시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진행되는 '대지의 시간'           김은진기자

탄소 중립, 이상 기후 등 환경 문제는 지속적으로 대두하고 있다. 하지만 더 많은 개발을 하기 위해, 이익을 얻기 위해 끊임 없이 자연을 파괴하고 있다. 이제는 생태적인 관점으로 자연과 함께 공생하는 법을 알아야 한다. 내년 2월27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의 <대지의 시간>은 이러한 ‘생태’를 주제로 했다.

<대지의 시간>은 코로나19, 기후위기 등 전 지구적 위기 앞에서 새로운 시대정신으로 요구되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성찰한다. 자연을 하나의 도구, 요소로 보는 인간중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생태학적인 관점으로 ‘공생’, ‘연결’, ‘균형의 회복’을 되돌아본다. 전시는 김주리, 나현, 백정기, 서동주, 올라퍼 엘리아슨, 장 뤽 밀렌 등 국내외 작가 16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이번 전시에서 조각, 영상,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 35점을 선보였다.

전시장은 가벽 없이 사방이 뚫려 있는 곳으로 기존의 전시 틀을 허물었다. 전시 종료 후 폐기물로 남는 가벽을 줄이고 작품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조성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진행되는 '대지의 시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진행되는 '대지의 시간'.

전시장에 들어서면 거대하고 축축한 흙덩어리를 제일 처음 발견할 수 있다. 김주리 작가가 압록강 하구 습지의 흙으로 만든 ‘모습’이다. 정확히 모습에 대해 정의할 수 없지만 유연하고 젖은 땅을 기본으로 만들었다. 강바닥, 강가의 습지를 구성하는 흙을 주재료로 자연의 한순간이자 순환을 느낄 수 있게 한다.

김주리 작가의 작품을 지나면 또 다른 공간을 구성하는 3개의 스크린과 어떤 눈을 볼 수 있다. 서동주 작가의 ‘비전’으로 바람 소리, 소 여물 먹는 소리, 귀뚜라미 소리 등 우리가 자연에서 흔하게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준다. 동시에 다양한 생명체의 눈이 진화한 과정을 보여준다. 눈의 생성, 변형, 진화하는 이미지를 빛과 자연의 모습이 다채롭게 투사되는 영상을 교차해 빛을 통해 세상을 인지하고 그 데이터가 이미지로 처리되는 과정을 체험하게 한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진행되는 '대지의 시간'2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진행되는 '대지의 시간'2

또 ‘흰 코뿔소’ 등 히로시 스기모토의 작품도 눈에 띈다. 평범한 동물 사진 같지만 박제한 동물을 설치해 북극, 아프리카, 원시림의 실제 장면을 들여다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입체모형을 촬영한 것이다. 우리가 쉽게 볼 수 없는 동물들과 주변 환경을 보여주며 이해를 높이기도 하지만 인간 중심적으로 동물을 다뤄온 방식과 세대를 거듭하며 학습이 이어지는 현장이기도 하다. 인간이 가진 자연의 관점을 반성하게 하며 중요한 가치에 대해 반문하게 한다.

이외에도 올라퍼 엘리아슨의 ‘시간 증폭기’, 주세페 페노네의 ‘돌의 몸 - 라미’, 백정기의 ‘육각부적’, 나현의 ‘머리사냥꾼의 선반’ 등은 인간과 자연이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하며 희미해진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해 상기시키기도 한다. 그러면서 남아있는 생태학적 과제를 탐구하고 대안적 가치의 발견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전시장을 찾은 안인선씨(33)는 "최근 생태나 자연을 주제로 한 작가의 그림이나 전시를 많이 봐왔는데, 인간 중심으로 바라봤던 그동안의 시각에 변화를 줄만큼 많은 울림이 있었다"면서 "전시 종료 후 폐기물로 남는 가벽을 줄이기 위해 작품이 서로 연결되도록 조성한 점도 의미가 있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람객 정성희씨(28)는 "평소 관심있던 주제를 예술작품으로 만나게 되어 반가웠다"면서 "단순히 작품으로 현 상황을 말하는 게 아닌 대안에 대해 생각해 볼 여운도 남기는 전시인 것 같다"라고 밝혔다. 

김은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