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개월짜리’ 道 산하기관장 무더기 공석/억지 충당 아닌 ‘대행’이 지혜일 수 있다

2018년 7월 민선 7기가 시작됐다. 이재명 지사가 취임한 것도 그때다. 그해 연말로 가보자. 이런 도청 뉴스가 많다. ‘산하 기관장 공백 우려’ 또는 ‘기관장 공백 장기화’다. 대표 없는 곳이 6곳에 달했다. 주택도시공사ㆍ경제과학진흥원ㆍ일자리재단ㆍ문화재단ㆍ평택항만공사ㆍ청소년수련원. 곧이어 신용보증재단, 복지재단도 공석이 됐다. 이런 공백은 이듬해까지 이어졌다.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개월을 그렇게 보냈다.

이제 2021년 12월이다. 꼭 3년이 지났다. 닮은 뉴스가 또 뜬다. 제목도 그때 그대로다. ‘산하기관장 빈자리 표류’ 또는 ‘기관장 공석 장기화 우려’다. 6개 산하기관인 것까지 똑같다. 주택도시공사ㆍ평택항만공사ㆍ연구원ㆍ테크노파크ㆍ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ㆍ복지재단이다. 한가지 반대 현상이 있다. 그때는 사람이 많아 헤맸다. 지금은 사람이 없어 걱정이다. 그도 그럴게. 임기 말이다. 6개월 있으면 새 도지사다.

인재들이 안 온다. 그럴 만하다. 6개월짜리 되기 십상이다. 쫓겨날 게 뻔하다. 버티면 망신 당한다. 지방자치 30년이 남긴 학습이다. 능력자들이 오지 않는다. 물론 모두가 그런 건 아니다. 신임 관광공사 사장은 특별한 경우다. 국가 관광, 서울 관광을 섭렵한 재원이다. 서울과 경기도 관광을 묶을 적임자다. 도청 주변에서도 ‘능력자가 왔다’고 칭송이다. 하지만, 이건 운 좋아서다. 대개 지원자들이 부족하다. 이건 현실이다.

그럼에도, 후임 선임 절차는 바삐 돌아간다. 경기연구원은 신임 원장 공모를 했다. 5명을 접수 받아 심사 중이다. 주택도시공사는 임원추천위원회 구성에 들어갔다. 나머지 기관들도 서두른다. 도의 입장을 이해한다. 공석을 방치하면 비난을 산다. 관련 규정도 즉시 선임토록 돼 있다. 이러니 절차를 밟는 것일 게다. 그러나 한번 생각해 보자. 반년의 공석이 조직을 와해시키기라도 하나. 그렇게 허약한 산하기관들인가.

그래서 하는 제언이다. 능력자가 없다면 뽑지 말자. 그런 대표를 무리해 세울 필요 없다. 그 공백을 메울 방법은 있다. 각 기관 정관에 규정된 ‘대행 체제’다. 부기관장이, 또는 상임이사가 대행토록 돼 있을 것이다. 여기엔 경기도의 각별한 역할이 필요하다. 큰 사업이 있을 수 있다. 중요한 결정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런 때 도가 함께 해야 한다. ‘대행체제’를 지원하는 관심이 필요하다. ‘도-기관’ 간 협의 기구도 생각해 봄직하다.

현재 공석인 6개 기관, 하나같이 크다. 차기 도지사가 우선 챙길 곳이다. 지금까지 예외없는 경험칙이다. 갑자기 바뀔 리 없다. 이토록 뻔한 ‘6개월 대표’를 굳이 세우는 것이 옳은가. 게다가 능력 부족한 지원자들만 차고 넘친다면 말이다. 이재명 전 지사가 나간 지 두 달 됐다. 그 두 달을 ‘오병권 지사 대행’이 채웠다. 도정은 잘 돌아간다. 하물며 더 작은 산하기관이다. ‘대행’에 망설일 이유가 없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